장기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심리 저하와 함께 오프라인 패션잡화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 백화점의 경우에도 매출이 반토막 났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기존 오프라인 시장에서 발생하던 '소비 양극화' 현상이 온라인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오프라인 명품 매장 방문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에서 비대면으로 구매 가능한 고가 명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트렌비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를 기준으로(1월 20일~3월 10일) 전년 동기 대비 주문 상품수 348%, MAU 379%, 거래액 123%가 증가했다.
온라인 종합몰이나 오픈 마켓에서도 명품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롯데백화점의 여성의류(-41.4%), 남성의류(-49.9%)를 비롯해, 구두(-53.2%), 핸드백(-50%) 등의 매출이 반토막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백화점은 여성패션과 남성패션 매출이 각각 64.2%, 53.9%, 명품 매출은 26.1% 줄며 큰 타격을 입었다. 그나마 충격이 덜한 현대백화점도 핸드백(-54.7%)과 섬유(-53.8%), 구두(-52.1%) 부문 매출이 절반 넘게 감소했다.
이렇듯,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대형 백화점 매출이 급감한 가운데, 온라인 패션잡화 매출은 가성비 제품군이 굳건하게 지키는 속에서 고가의 명품군이 급부상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집콕하는 명품족이 늘어나면서 해당 수요까지 몰리며 온라인 쇼핑 시장은 현재 ‘소비 양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 양극화란 싸거나(유행소비), 비싸거나(가치소비) 색깔이 분명한 제품들이 잘 팔리는 트렌드를 일컫는 말로, 지난해 오프라인 유통패션 시장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실제 명품을 중심으로 고가 마케팅을 펼친 신세계는 2011년 계열 분리 후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으며, 반면 이마트는 지난 2분기 창사 이래 첫 분기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4분기에도 또 다시 적자를 내며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0% 가까이 급감한 바 있다.
홈쇼핑에서도 소비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지난해 100만원대 이상 고가 상품의 주문건수가 작년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가성비 우수 상품이 아니면 초고가 프리미엄 상품에만 지갑을 여는 현상이 확연했다.
이 같은 소비 양극화 추이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온라인으로 본격적으로 불 붙기 시작했다. 그 동안 저렴하면서도 트렌디한 제품 위주였던 패션 쇼핑 시장에 명품 매장 수요가 합세하며 오프라인과 마찬가지로 소비 양극화 분위기가 전이된 모습이다.
명품 쇼핑 업계에서 가장 높은 네이버 모바일 검색율을 기록하고 있는 트렌비는 코로나19 환자가 확인되기 시작한 지난 1월 20일부터 이번달 10일까지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동일 기간 대비 주문 상품수가 348% 증가했고 월간 순이용자수(MAU, Monthly Active Users)는 379%, 거래액은 123% 증가했다고 최근 밝혔다.
과거 명품 시장은 제품 자체가 고가이다 보니 온라인이나 홈쇼핑 등 비대면 거래가 어렵게 여겨졌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명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전문몰들이 본격적으로 생겨나고 해외가격 비교나, 실제 사진을 통해 사전에 구매자에게 실물을 확인시켜주는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명품 온라인 마켓의 본격화가 시작됐다.
여기에, 올해 갑작스러운 코로나19로 대면 구매를 부담스럽게 느낀 오프라인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눈을 돌리며 관련 시장은 새로운 확장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트렌비는 100% 책임인증제와 200% 보상제를 통한 신뢰 구축, 인공지능(AI)으로 인기상품부터 희귀상품까지 전 세계 최저가를 서치해 주는 기술기반 서비스 등 입소문까지 더해지며 신규 유입이 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이불 밖은 위험해! 집에서 트렌비로 전 세계 쇼핑!’ 기획전을 열어 최대 80% 이상 세일을 해주는 행사를 운영 중이다. 이 기획전에서는 루이비통, 구찌, 버버리, 생로랑, 보테가베네타, 비비안웨스트우드, 스톤아일랜드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경제 침체에도 립스틱 등 작은 사치품의 판매량이 오르는 ‘립스틱 효과’가 생겨나면서 일반 종합몰과 오픈마켓에서도 명품 소비가 증가하는 추이가 생겨나기도 했다.
롯데닷컴에서는 지난 2월 명품 화장품 매출이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명품브랜드 중에서도 고가브랜드에 속하는 크리스찬디올의 매출은 136% 증가했다. SSG닷컴에서도 코로나19 확산 기간 동안 명품화장품 파운데이션과 립스틱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87%, 33%로 대폭 증가했다.
오픈마켓 옥션에서는 2월 기준 명품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59% 신장했다. 특히 명품 신발은 173%로 대폭 증가했다. 이어 명품의류와 패션소품 매출이 각각 117%, 110% 증가했다.
최신 유행을 빠르게 반영하며 온라인 패션 시장을 이끌고 있는 에이블리는 코로나19로 인한 불황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에이블리 앱 방문자가 역대 최고치인 130만명을 돌파한 이래, 코로나19가 발생한 올 1~2월에도 130만명 내외를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패션 시장이 반토막에 이를 정도로 안 좋은 상황 속에서도 최고 실적을 지켜내고 있는 셈이다.
셀럽마켓으로 잘 알려진 에이블리에는 정장세트가 3만9800원, 트렌치코트가 2만9900원, 가방이 1만9700원 등 어떻게 이런 제품이 이 가격에 나왔을까 싶을 정도의 가성비 좋은 상품들이 다수 올라와 있다. 에이블리는 최근 신규회원을 대상으로 990원 봄 상품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코로나19 속에서도 소비자들의 가벼운 소비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지난 12일 쿠팡은 직접 기획한 자체 패션 브랜드 ‘베이스알파에센셜’을 올 6월 출시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 브랜드는 ‘한국판 유니클로’나 ‘한국판 갭(GAP)’을 지향할 예정이며, 의류 제조사와 원가를 협의하고 유통 단계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갖출 계획이다. 실제 일본 유니클로나 미국 갭 대비 가격을 싸게 책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온라인 패션 시장에 펼쳐지고 있는 ‘소비 양극화’가 단순한 트렌드에 멈추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온라인 마켓은 브랜드의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명품 소비자와 퀵한 트렌드를 즐기는 일반 소비자 양대 축을 중심으로 성장을 거듭하며 대한민국 패션 시장을 리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EST 뉴스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서울시 공공배달앱 ‘땡겨요’, 소상공인 지원 취지 무색…불만과 논란 지속
땡겨요 로고 서울시와 신한은행이 함께 만든 공공배달앱 ‘땡겨요’가 도입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의 불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출범 당시에는 민간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최대 7~8%)를 줄이고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취지였으나, 실제 현장에... -
“칸쵸에서 내 이름을 찾아라”… 롯데웰푸드, 참여형 이벤트 진행
롯데웰푸드가 초코과자 ‘칸쵸’에 소비자 이름을 새기고, 이름 찾기 이벤트를 진행한다. 롯데웰푸드 칸쵸 ‘내 이름을 찾아라’ 제품 연출컷 사진=롯데웰푸드 제공 이번에 새겨진 이름은 최근 국내에서 많이 등록된 신생아 이름 500개와 칸쵸 공식 캐릭터 이름 4개 등 총 50... -
한전기술–남동발전, ESG 감사 역량 강화 손잡았다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위해 감사 업무 분야에서 손을 맞잡았다. 3일,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 감사업무 협약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오른쪽에서 다섯번째 한전기술 윤상일 상임감사, 왼쪽에서 네번째 남동발전 ... -
까르마, KLPGA 메이저 KB금융 스타챔피언십 후원 우승·홀인원 선수에 모션베드 증정
메모리폼 매트리스 침대 전문 브랜드 까르마(CALMA)가 25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블랙스톤CC에서 펼쳐지는 국내 여자 프로골프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한다. 사진=까르마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
농심 1위·대상 TOP10 신규 진입…식음료 상장사 브랜드 순위 재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2일 발표한 ‘K-브랜드지수’ 조사에서 식음료 상장사 부문 1위에 농심이 올랐다고 밝혔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브랜드 평가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