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수험생, 대학교보다 전공 우선 검색 '컴퓨터가 1순위'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06.01 15:5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교생의 대학 진학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AI 기반으로 진로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 서비스업체에 따르면 대학 진학을 위한 수험생의 검색 키워드가 대학에서 학과로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554371762_20210601131733_5130134813.jpg
고등학생 진로 진학 관련 검색어 트렌드(자료출처=메이저맵)

 

전국 고등학교의 약 75% 재학생이 진로 및 진학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메이저맵 서비스의 사용자 데이터 분석 결과, 2019년에는 이용자의 상위 10개 검색 항목 중 9개가 대학명이었던 반면, 2020년부터는 상위 검색어에서 대학명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2020년 상위 검색어 1위부터 6위까지는 학과명이, 7위부터 10위까지는 대학명이 나타났지만, 2021년에는 2년 연속 1위에 올랐던 서울대를 비롯한 유명 대학들이 순위권에서 아예 사라졌다. 2022년의 대학 진학 트렌드는 ‘취업이 잘 되는 학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IT 기업들이 컴퓨터 엔지니어를 대거 채용하면서 컴퓨터 학과에 대한 관심도가 학생 중 가장 높았다.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는 경찰학과와 간호학과에 대한 관심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22년 입시부터 약학대학의 학부 신입생을 뽑는 대학이 많아지면서, 약학대학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 수도권과 지방으로 나눈다면, 수도권(서울, 경기권) 고교생들은 경영학이나 컴퓨터공학을 많이 검색한 반면, 지방(수도권 제외) 고교생들은 경찰, 간호, 교육 등을 주로 검색했다.


메이저맵 이중훈 대표는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로 인한 대학들의 위기 상황에서, 대학이 할 수 있는 최고의 대응은 결국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관심인 미래 일자리에 필요한 필수 직무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며 “불확실한 미래 직업들과 관련해 쏟아지는 데이터를 심도 있게 분석해 대학은 경쟁력 있는 학과를 개설하고 수험생들은 유의미한 진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 경쟁력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포부를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국세청 겨냥한 사이버 공격, 올해 폭증…8월까지 역대 최다
  • 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예산 ‘전국 꼴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야구 직관엔 뿌링클” … bhc, 프로야구장 최다 판매 메뉴 1위
  • 소비자분쟁조정 4개월 걸려도 해결 못해… 평균 123일 vs 법정 30일
  • 스쿨존인가 스모킹존인가… 흡연 과태료 2년 만에 10배 늘어
  • 관세 체납자 절반, 10년 이상 장기체납… 체납액만 1조원대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 한전기술, 독일 JBO와 해상풍력 손잡았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수험생, 대학교보다 전공 우선 검색 '컴퓨터가 1순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