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소영, ‘권고적 주주제안권’ 도입 법안 발의… “0.1% 주주도 ESG 제안 가능”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7.14 12:0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소액주주도 기업 경영에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경기 의왕·과천)은 14일, ‘권고적 주주제안권’을 신설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이소영의원실]_보도자료_사진.jpg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경기 의왕·과천)

 

개정안은 지분 0.1% 이상을 보유한 주주가 이사회 권한 범위를 넘어서는 내용도 주주총회 안건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같은 비재무적 사안에 대해 소액주주가 제도권 안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이 의원은 “소수 주주도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장기 가치에 대해 정당한 제안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법안은 기업과 주주 간 신뢰와 소통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설명했다.


현행 상법은 주주제안권을 주총 권한 내에 한정하고 있으며, 제안 시기도 ‘주총 6주 전’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액주주들이 실질적인 의견 개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번 개정안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해, 주주총회일 2개월 전부터 상장회사의 지분 0.1% 이상 보유한 주주가 이사회 권한 밖의 안건도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제안은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주총에 상정돼 공식적인 논의와 표결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업은 해당 권고적 제안을 따르지 않을 경우, 그 사유를 주주에게 통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도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정안에는 일반 주주제안권 행사 시한도 ‘6주 전’에서 ‘3주 전’으로 완화해, 주주들의 권리 행사가 보다 현실화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소영 의원은 “기업 경영의 중심이 단기 이익에서 ESG와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권고적 주주제안권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지배구조 혁신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주도 단순한 투자자가 아닌 기업 가치 형성의 동반자”라며 “입법을 통해 기업과 주주 간 건설적인 소통의 틀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세계 악기로 재해석한 한국의 소리, ‘소리원정대’ 다큐 10월 방송
  • 자살 유족 10명 중 4명, 지원 거부…사회적 시선이 걸림돌
  • 혁신금융서비스 신청·출시 2024년 급증…전년 대비 각각 7배·3배 증가
  • 최근 5년 슈퍼세균 CRE 감염 환자 2.3배 급증, 요양병원서는 6배
  • 조은희 의원, “제2의 케데헌? IP 주권부터”
  • 청주시장 이범석, ‘K-브랜드지수’ 충청 지자체장 1위
  • “작년보다 2배 빠른 완판” 롯데웰푸드 ‘고창 고구마 시리즈’ 흥행 돌풍
  • 기아,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출시…“고급감·편의성 한층 강화”
  • [이호준의 문화zip]- 프랑스 신용강등이 던지는 경고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이소영, ‘권고적 주주제안권’ 도입 법안 발의… “0.1% 주주도 ESG 제안 가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