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부업법 위반 피해자, 지난해 1만6천명…1년새 12배 급증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9.29 14:4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미등록 대부업체의 불공정 계약과 고금리 대출로 피해를 입은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PCM20241014000165061.jpg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 사진=연합뉴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정책위의장·행정안전위원회 소속)이 29일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대부업법 위반 피해자 수는 1만6,14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1,229명)보다 12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특히 경기북부 지역 피해자가 1만1,661명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대부업법 위반 건수는 ▲2021년 675건 ▲2022년 914건 ▲2023년 977건 ▲2024년 1,581건 ▲올해 1~8월 1,862건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를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부산(902건), 경기남부(226건), 서울(185건), 경기북부(74건), 대구(74건) 순으로 많았다.


채권추심법 위반 사례도 급증했다. 피해자 수는 ▲2023년 864명 ▲2024년 1,177명 ▲올해 1~8월 1,519명으로 집계돼 8개월 만에 지난해 총수를 넘어섰다. 위반 건수 역시 ▲2021년 382건 ▲2022년 558건 ▲2023년 772건 ▲2024년 1,155건 ▲올해 1~8월 1,042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불법 사채 범죄 수익에 대한 몰수·추징 보전액은 ▲2021년 32억원 ▲2022년 43억원 ▲2023년 62억원 ▲2024년 187억원 ▲올해 1~8월 139억원에 달했다.


정춘생 의원은 “최근 연 6만%에 달하는 이자를 부과하는 불법 사채조직이 적발되는 등 서민을 상대로 한 고리대금이 성행하고 있다”며 “피해자가 계속 늘고 있는 만큼 경찰의 엄정한 단속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해킹 피해 속출…개인정보 불법유통 64만건 확인
  • 304만 요양보호사 중 실제 활동자는 70만…저임금에 제도 붕괴 위험
  • 롯데건설 ‘잠실 르엘’, 분양 3일 만에 완판…최고 761대 1 경쟁률
  • LH 미매각 토지 여의도 4.9배…수도권 주택 7만여 호 공급 가능
  • 국세외수입포털, 국민 세금으로 만들었지만 하루 이용자 2명에 그쳐
  • 충남 건설사 1천여 곳 폐업…복기왕 “지역 균형발전 동력 지켜야”
  • 정원오 성동구청장, ‘K-브랜드지수’ 서울시 지자체장 1위 선정
  • 동서식품, ‘2025 카누 바리스타 챔피언십’ 성료…김가은 바리스타 우승
  • “2025년 가을, 대한민국은 공연중”…전국서 210편 공연 한눈에
  • 한국인 약물 의존 심각… 항불안제·수면제 처방 600만 명 넘어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대부업법 위반 피해자, 지난해 1만6천명…1년새 12배 급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