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15.4℃
    맑음14.2℃
    맑음철원12.8℃
    맑음동두천14.6℃
    맑음파주13.3℃
    구름조금대관령8.5℃
    맑음춘천14.7℃
    맑음백령도11.9℃
    구름조금북강릉16.2℃
    구름조금강릉16.4℃
    구름조금동해16.7℃
    맑음서울13.9℃
    맑음인천10.8℃
    맑음원주13.7℃
    구름조금울릉도13.2℃
    맑음수원14.6℃
    구름조금영월13.1℃
    맑음충주13.6℃
    맑음서산14.6℃
    구름많음울진13.0℃
    맑음청주16.1℃
    맑음대전16.4℃
    맑음추풍령14.2℃
    구름조금안동15.1℃
    맑음상주16.0℃
    구름조금포항17.3℃
    맑음군산12.9℃
    맑음대구17.8℃
    맑음전주15.2℃
    맑음울산16.5℃
    맑음창원18.8℃
    맑음광주16.3℃
    맑음부산17.7℃
    맑음통영15.6℃
    맑음목포13.7℃
    맑음여수15.8℃
    맑음흑산도15.4℃
    맑음완도16.4℃
    맑음고창14.6℃
    맑음순천15.5℃
    맑음홍성(예)14.9℃
    맑음16.7℃
    맑음제주16.1℃
    맑음고산14.8℃
    맑음성산16.7℃
    맑음서귀포17.1℃
    맑음진주18.3℃
    맑음강화11.1℃
    맑음양평15.2℃
    맑음이천15.4℃
    구름많음인제12.5℃
    맑음홍천14.6℃
    구름많음태백10.3℃
    구름조금정선군12.7℃
    맑음제천12.5℃
    맑음보은14.3℃
    맑음천안15.8℃
    맑음보령13.1℃
    맑음부여16.1℃
    맑음금산15.5℃
    맑음15.8℃
    맑음부안15.2℃
    맑음임실15.3℃
    맑음정읍15.7℃
    맑음남원16.6℃
    맑음장수13.5℃
    맑음고창군15.6℃
    맑음영광군14.7℃
    맑음김해시18.6℃
    맑음순창군16.0℃
    맑음북창원17.9℃
    맑음양산시18.7℃
    맑음보성군18.2℃
    맑음강진군17.2℃
    맑음장흥17.0℃
    맑음해남15.8℃
    맑음고흥17.5℃
    맑음의령군19.9℃
    맑음함양군16.9℃
    맑음광양시18.6℃
    맑음진도군14.1℃
    구름조금봉화12.9℃
    맑음영주13.1℃
    맑음문경14.5℃
    구름조금청송군15.3℃
    구름조금영덕17.1℃
    구름조금의성16.2℃
    맑음구미17.5℃
    맑음영천17.4℃
    맑음경주시17.9℃
    맑음거창16.8℃
    맑음합천18.9℃
    맑음밀양18.9℃
    맑음산청17.0℃
    맑음거제16.5℃
    맑음남해17.5℃
    맑음18.6℃
  • 최종편집 2025-04-0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배달'시장은 급격히 성장했다. 배달 시장이 성장하면서 배달료도 따라 오르고 있는 가운데 음식값 중에서 배달료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져가고 있다. 계속 오르는 배달비를 줄이기 위해 한 소비자는 ‘공동 배달’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렸다.  


Screenshot 2022-01-21 at 09.11.45.jpg
출처=픽사베이/트위터

지난 16일 트위터에 “우리 아파트는 단톡방으로 치킨이나 커피 시킬 때 뭉쳐서 시킨다. 배달오면 여러 집에서 한 사람씩 나와서 자기 메뉴 가져가고 배달비는 나눠서 낸다”는 글이 올라왔다. 같은 아파트에서 입주민끼리 카톡방이나 커뮤니티 등을 활용해 배달 주문을 하는 방식이다. 

 

최근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업체들이 수수료를 인상하면서 배달요금만 1만 원까지 치솟는 경우가 생겨났다. 대부분의 배달 대행업체는 올해들어 대행 수수료를 500원 내지 1,000원 폭으로 인상했다.


지난해 평균 3,300원이었던 기본 배달대행료는 4,400원 정도로 1년 만에 30% 수준 인상됐다. 이미 수도권 기준 평균 배달 수수료는 5,000~6,000원까지 올랐다. 배달비만 해도 1인분 음식값에 육박한다. 배달비가 오르자 소비자들은 배달 수수료를 아끼기 위한 노하우를 개발하고 있다. 한꺼번에 동시 주문하는 방법은 그 중 하나다. 

Screenshot 2022-01-21 at 09.11.56.jpg
자료출처=인터넷 커뮤니티

누리꾼들은 공동배달 주문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배달비 좀 제발 적당히 받아라", "이렇게 6~7명 같이 시켜서 배달비 나눠내니 인당 200원 나왔다. 좋은 방법이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자영업자도 배달 공동주문에 대해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추천했다. 


현재 배달요금에 대해 소비자들의 50% 이상은 비싸다고 느끼고 있다. 지난 10일 한국행정연구원 미래행정혁신연구실의 ‘배송·배달 서비스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3.4%는 현재 배달비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0% 가깝게 배달비는 2000원 미만이 적정하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댓글 0

  • 8102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음식값'보다 비싼 배달료 1만원 시대...'공동 배달' 절약 방안 등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1.21 09:1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