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파트 내 상가는 대로변을 따라 점포가 배치되는 스트리트형(연도형)의 인기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리트형 설계는 80년대까지 인기를 끌다 자취를 감췄으나, 2000년대 들어 쇼핑몰처럼 설계가 고급스러워지고, 다양한 업종이 들어서는 등 한층 진화해 단지내 상가의 대표적 형태로 자리잡았다. 특히 세련된 외관으로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야간 보행환경에도 도움을 줘 도시계획에서도 중요시되는 분위기다.
1980년대 입주한 아파트만 해도 단지 별로 스트리트형과 박스형 상가가 혼재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아파트들은 허허벌판에 짓다 보니 상가는 아파트 입주민 전용 공간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단순히 입주민들이 이용하기 쉬운 곳에 짓는 게 목적이라 도시계획적 의미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서울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압구정로를 따라 아파트 내 상업시설이 수백미터 펼쳐져 있다. 아파트 규모가 크다 보니 일부 상가는 아파트 안을 가로질러 일자로 뻗어 있어 입주민 다수가 이용하기 수월한 형태로 설계됐다. 반포주공 1단지도 신반포로를 따라 상가가 밀집해 있으며, 용산 한강멘션 아파트도 이촌로 옆으로 상가가 길게 늘어선 곳이다.
박스형도 흔하다. 대치 은아아파트는 주출입구 쪽 3층 규모의 종합 상가가 유일하다. 목동 신시가지, 상계 주공아파트들도 대부분 중심부나 입구 부근 단독 건물에 편의시설이 몰려 있다.
눈에 띄는 것은 1990년대 와서는 스트리트형 상가가 자취를 감추고 박스형 상가가 대세가 됐다는 점이다. 백화점, 대형마트 등이 속속 들어서 아파트 내 상권의 중요성이 줄어든 것이 이유로 꼽힌다. 1990년대 입주한 일산, 분당 등 2기신도시도 마찬가지다. 길가를 따라 상가가 배치된 게 아닌 아파트 내 별도로 상가 건물이 존재한다.
건설사 관계자는 “1990년대 입주한 아파트는 상가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게 유행이었다”며 “자동차가 보편화 되면서 걸어서 쇼핑을 하는 스트리트형 보다는 한곳에 상가가 몰린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인식도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스트리트형 상가가 화려하게 부활했다. 도시계획차원에서 대로를 조성하고, 이곳에 상가를 배치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자리잡아서다. 외부 사람을 상가로 끌어들일 수 있어 상권 형성에도 유리하다. 특히 80년대 스트리트형 상가와 달리 쇼핑은 물론 외식·문화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한 자리에서 원스톱으로 즐길 수 있는 현대적인 ‘몰(MALL)’ 형태도 돋보인다. ‘유럽풍’ 느낌의 고급스러운 설계도 스트리트형 인기에 힘을 보탰다.
스트리트형 상가 설계는 서울 내 뉴타운이 주도했다. 2009년 입주를 시작한 은평뉴타운은 지구내를 관통하는 진관로를 통해 상가가 스트리트형으로 설계됐다. 2014년 입주를 시작한 왕십리 뉴타운도 내 단지도 대로를 따라 상가가 ‘ㄴ’자 형태로 설계돼 있다. 위례신도시도 ‘트랜짓몰’로 불리는 스트리트형 상가가 주목을 끌었다.
이후 최근까지 입주한 개별 단지 대부분도 스트리트형 구조가 적용됐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입주한 18곳(500가구 이상) 중 스트리트형 구조는 15곳으로 나타났다.
분양 홍보 관계자는 “대형 쇼핑몰에서 볼 수 있는 설계가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도 도입되면서 고급화되는 추세”라며 “보행환경이 쾌적해지고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는 등 공적인 측면에도 기여하고 있어 스트리트형 상가 인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KBS가 올해 실제로는 1,8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하고도 제작비를 대폭 줄여 ‘1,000억 원 적자’ 수준으로 맞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연합뉴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남동을)은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장범 사장의 진짜 성...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의원(국민의힘·서울 도봉갑)은 20일 “정무위 소관 5개 금융 공공기관이 징계가 확정된 직원에게도 성과급을 지급해왔다”며 “국민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김재섭 의원 사진=김재섭 의원실 제공 김재섭 의원이 중소기업...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안마의자 이어 이번엔 로펌 몰아주기… 국보연 또 방만 경영
국가보안기술연구소(국보연)가 특정 법무법인에 수년간 소송대리와 법률자문 계약을 몰아주고, 직원을 파견한 기업과 연이어 수억 원대 계약을 맺은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소장용 안마의자 구입과 고위직 힐링 여행 등으로 방만 경영 논란이 제기된 바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