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2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다시 30만명을 넘어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4만7554명 늘어 누적 1235만42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28일 기준 18만7213명으로 지난 3일(19만8799명) 이후 25일 만에 20만명 아래로 떨어졌지만 다시 하루 만에 16만341명 급증하며 이틀 만에 30만명 이상 발생했다.
주말동안 감소했던 검사 건수가 다시 많아지면서 확진자 수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시행한 검사는 총 45만9360건으로, 직전일(25만9712건)의 1.8배 수준이다. 1주일 전인 22일 35만3911명과 비교하면 6357명 적고, 2주 전인 15일 36만2281명보다도 1만4727명 적은 수준으로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8일 오미크론 유행이 11주 만에 정점을 지나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정점이 아직 이르지 않았으며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30∼50% 더 강한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56.3% 검출되면서 새로운 우세종이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 추이를 지켜보며 다음 달 4일부터 적용할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날 집계된 위중증 환자는 1215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전날(1273명)보다는 58명 줄었지만, 지난 27일(1216명)부터 사흘 연속 1200명대를 유지했다. 또 지난 8일(1007명) 이래 22일째 네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전날 코로나19 사망자는 237명으로, 직전일(287명)보다 50명 감소했다. 사망자 237명을 연령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144명(60.76%)으로 가장 많고 이어 70대 55명, 60대 25명, 50대 10명, 40대 3명이다. 30대 이하에서는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다. 누적 사망자는 1만5423명이고 누적 치명률은 0.12%로 전날보다 1%포인트 줄어들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8.2%(2825개 중 1천926개 사용)로 전날(70.0%)보다 1.8%포인트 낮아졌다.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하는 준중증 병상 가동률도 68.7%다.
29일 0시 기준 재택치료자 수는 170만365명으로 전날(183만7291명)보다 13만4226명 줄었다.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은 22만2599명으로 역시 3만7211명 줄었다.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5만6417명으로 16.2%를 차지한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34만7513명, 해외유입이 41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경기 8만8695명, 서울 6만6078명, 인천 1만8826명 등 수도권에서만 17만3599명(50.0%)이 나왔다.
해외유입을 더한 지역별 확진자는 경기 8만8702명, 서울 6만679명, 경남 2만2498명, 부산 1만9969명, 인천 1만8826명, 대구 1만7817명, 전북 1만598명, 경북 1만4911명, 충남 1만3997명, 전남 1만3632명, 충북 1만375명, 대전 1만1124명, 강원 1만508명, 광주 7920명, 울산 7573명, 제주 3329명, 세종 2476명이다.
지난 23일부터 1주간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49만821명→39만5568명→33만9514명→33만5580명→31만8130명→18만7213명→34만7554명으로 일평균 34만4911명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기본접종을 마친 비율)은 이날 0시 기준 86.7%(누적 4447만8548명)이다. 3차 접종은 전체 인구의 63.7%(누적 3266만7018명)가 마쳤다.
BEST 뉴스
-
알테오젠,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 1위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0일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에서 알테오젠이 1위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트렌드, 미디어, 소셜, 긍정·부정 평가, 활성화, 커뮤니티, AI 인덱...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이미지=연합뉴스TV 제공 보험사들이 ‘더 좋은 조건’을 내세워 기존 계약 해지를 유도하는 이른바 ‘보험 갈아타기’ 영업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상품을 바꾸게 하는 ‘부당승환’ 행위가 업계 전반으로 번지면서, 보험시장의 건전성과 공정 경... -
[단독] “끈끈이로 변한 골프공”… 볼빅 비비드 컬러볼, 품질 논란 확산
컬러 골프공 시장의 선두주자로 알려진 볼빅(Volvik)의 비비드(Vivid) 시리즈를 둘러싸고 품질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공 표면이 끈적거린다는 불만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볼빅 골프공. 끈적임 현상이 생기는 제품은 맨 하단 우측(무광 컬러볼) 사진=류근원 기...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