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원인불명 소아 급성 간염 사례' 국내 첫 보고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2.05.10 14: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원인불명의 소아 급성 간염 의심 사례가 국내에서도 발생했다. 


Screenshot 2022-05-10 at 14.23.39.jpg
간염. 이미지=픽사베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1일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원인불명 급성 간염 의심사례가 1건 신고됐다고 10일 밝혔다.


소아의 원인불명 급성 간염은 지난달 4일 영국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지난 4일까지 세계 각국에서 237명 발생했다. 영국 145명, 이탈리아 17명, 스페인 13명, 덴마크 6명, 네덜란드 4명 등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18명 확인됐다. 


아시아에서도 일본 1명, 인도네시아 3명, 싱가포르 1명 등이 보고됐다. 지금까지 세계 19개국에서 비슷한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자는 4명으로 이 중 3명은 인도네시아에서 집중 발생했다.


환자의 연령대는 1세부터 16세까지로 파악됐다. 대부분 복통·설사·구토 등 위장 계통의 증상을 보인 뒤 중증 급성 간염, 간 효소 수치 급증, 황달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아 원인불명 급성 간염은 기존 A~E형으로 분류되는 바이러스 간염이 아닌 급성 간염으로 분류된다.  


Screenshot 2022-05-10 at 14.22.50.jpg
이미지=픽사베이

방역 당국은 5월부터 급성 간염으로 병원을 찾은 16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중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등 간기능 수치가 500IU/L를 초과한 경우 신고하도록 하는 감시체계를 운영해왔다. AST와 ALT는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 평소 혈액 속에서 검출되기도 하지만, 간세포가 파괴되면 혈액 속으로 흘러나와 혈중 수치를 변동시킨다. 바로 이 수치의 변화를 통해 간 질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방역당국의 감시체계를 통해 국내 소아 급성 간염 의심 사례를 찾아냈다.  


이 급성 간염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분분하다. 다만, 국내에서 보고된 환자는 호흡기 검체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실시한 결과 주로 소아에게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아데노 바이러스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함께 검출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아데노 바이러스로는 환자들이 보이는 증상의 심각성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는 만큼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조사 중이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원인불명 소아 급성 간염 사례' 국내 첫 보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