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6.6℃
    맑음7.3℃
    구름조금철원6.6℃
    맑음동두천9.8℃
    맑음파주8.3℃
    구름조금대관령-0.7℃
    맑음춘천7.7℃
    구름많음백령도7.4℃
    맑음북강릉8.3℃
    맑음강릉8.6℃
    맑음동해7.4℃
    맑음서울11.2℃
    맑음인천8.6℃
    맑음원주9.1℃
    맑음울릉도8.9℃
    맑음수원7.6℃
    구름많음영월7.3℃
    맑음충주7.7℃
    맑음서산4.9℃
    구름조금울진7.8℃
    맑음청주11.5℃
    맑음대전9.8℃
    맑음추풍령6.9℃
    맑음안동10.5℃
    맑음상주9.4℃
    맑음포항10.4℃
    맑음군산7.0℃
    맑음대구10.8℃
    맑음전주9.0℃
    맑음울산9.2℃
    맑음창원10.9℃
    맑음광주10.6℃
    맑음부산12.1℃
    맑음통영10.7℃
    박무목포8.1℃
    구름조금여수12.1℃
    구름조금흑산도8.6℃
    구름조금완도10.7℃
    맑음고창4.6℃
    맑음순천7.0℃
    맑음홍성(예)6.4℃
    맑음7.8℃
    구름많음제주12.6℃
    구름많음고산12.4℃
    구름조금성산10.8℃
    구름조금서귀포14.2℃
    맑음진주8.5℃
    맑음강화7.6℃
    맑음양평9.7℃
    맑음이천10.6℃
    구름조금인제6.7℃
    구름조금홍천8.1℃
    구름많음태백2.2℃
    맑음정선군4.8℃
    구름조금제천5.4℃
    맑음보은6.1℃
    맑음천안6.4℃
    맑음보령4.5℃
    맑음부여6.1℃
    맑음금산6.8℃
    맑음8.9℃
    맑음부안6.4℃
    맑음임실4.7℃
    맑음정읍6.2℃
    맑음남원6.1℃
    맑음장수3.1℃
    맑음고창군6.0℃
    구름조금영광군5.8℃
    맑음김해시12.5℃
    맑음순창군6.2℃
    맑음북창원13.1℃
    맑음양산시12.8℃
    구름많음보성군11.4℃
    구름많음강진군8.2℃
    구름많음장흥5.2℃
    구름많음해남5.1℃
    구름조금고흥8.0℃
    맑음의령군9.5℃
    맑음함양군6.5℃
    맑음광양시11.9℃
    구름많음진도군5.1℃
    맑음봉화4.1℃
    구름많음영주7.2℃
    맑음문경8.4℃
    맑음청송군5.0℃
    구름조금영덕6.5℃
    맑음의성6.9℃
    맑음구미9.2℃
    맑음영천7.9℃
    맑음경주시7.3℃
    맑음거창
    맑음합천9.9℃
    맑음밀양10.2℃
    맑음산청8.7℃
    맑음거제12.6℃
    맑음남해10.4℃
    맑음12.5℃
  • 최종편집 2025-04-08(화)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교실 수업의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오프라인 수업에서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퀴즈, 과제, 토론 등의 학습도구를 사용하며, 교수설계 방향에 따라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각 교과에서는 그 특성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학습 도구들을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는 'GeoGebra'와 같은 대수 및 기하학 시각화 도구가 사용되며, 과학 교과에서는 'Labster'와 같은 시뮬레이션 도구들이 많이 활용된다. 언어 교과에서는 'Quizlet'과 같은 플래시카드 기반 학습 도구가 자주 사용되며, 역사나 사회에서는 'Google Earth'를 통한 지리적 탐구가 가능하다.


image01.jpg
그림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디지털 교과서 사업에서도 교과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학습도구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정보 교과에서는 코딩 실습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영어 교과에서는 'STT(Speech-To-Text)' 기술을 활용한 말하기 실습 도구를 제공하며, 수학 교과에서는 수학 탐구용 소프트웨어인 알지오매스(AlgeoMath)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학습 도구의 활용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모든 학습 경험이 데이터로 기록될 수 있다. 'xAPI(Experience API)'는 이러한 학습 경험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수집하고, 학습자의 활동을 세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xAPI를 사용하면 이 모든 데이터를 한데 모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특정 수학 문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그 학생의 'GeoGebra' 사용 기록을 분석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과학 실험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을 때도, xAPI로 수집된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제 실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디지털 학습 도구에서 수집된 학습 경험 데이터는 단순히 학생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학생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를 깊이 이해하고, 학습 과정을 개인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들은 이러한 학습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학습 도구는 교과별로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풍부하고 개인화된 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 경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xAPI를 통한 학습 경험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생들에게 최적의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KakaoTalk_20240702_161918110.jpg
정민정 (주)인튜브 에듀테크혁신본부 본부장/이학석사
태그

전체댓글 0

  • 3000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튜브의 에듀테크 이야기] 학생별 맞춤교육 가능하다는 '일타도구' xAPI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8.20 21:3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