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7.8℃
    비5.0℃
    흐림철원4.9℃
    흐림동두천5.8℃
    구름많음파주5.4℃
    구름많음대관령1.3℃
    흐림춘천5.0℃
    비백령도4.0℃
    구름조금북강릉5.6℃
    맑음강릉8.0℃
    맑음동해6.7℃
    흐림서울7.4℃
    구름많음인천7.1℃
    흐림원주6.4℃
    구름많음울릉도8.3℃
    흐림수원6.9℃
    흐림영월6.6℃
    흐림충주7.0℃
    구름많음서산5.8℃
    맑음울진6.5℃
    흐림청주7.5℃
    구름많음대전6.8℃
    흐림추풍령6.4℃
    흐림안동7.8℃
    흐림상주7.8℃
    맑음포항10.8℃
    맑음군산5.3℃
    맑음대구9.3℃
    맑음전주6.5℃
    맑음울산10.8℃
    맑음창원9.2℃
    맑음광주6.5℃
    맑음부산10.7℃
    맑음통영10.5℃
    맑음목포6.4℃
    맑음여수8.8℃
    맑음흑산도7.1℃
    맑음완도7.9℃
    맑음고창2.8℃
    맑음순천5.6℃
    맑음홍성(예)6.4℃
    흐림7.9℃
    맑음제주9.3℃
    맑음고산10.4℃
    맑음성산9.2℃
    맑음서귀포9.2℃
    맑음진주8.4℃
    구름조금강화6.3℃
    흐림양평7.4℃
    흐림이천7.0℃
    흐림인제4.1℃
    흐림홍천5.9℃
    구름많음태백4.5℃
    흐림정선군5.7℃
    흐림제천6.2℃
    흐림보은7.1℃
    흐림천안7.4℃
    맑음보령3.4℃
    맑음부여4.9℃
    맑음금산6.6℃
    구름많음6.4℃
    맑음부안3.5℃
    맑음임실2.9℃
    맑음정읍3.7℃
    맑음남원3.4℃
    맑음장수4.1℃
    맑음고창군3.4℃
    맑음영광군3.2℃
    맑음김해시10.3℃
    맑음순창군3.5℃
    맑음북창원9.8℃
    맑음양산시10.1℃
    맑음보성군6.3℃
    맑음강진군7.6℃
    맑음장흥3.5℃
    맑음해남3.4℃
    맑음고흥7.7℃
    맑음의령군8.0℃
    맑음함양군7.1℃
    맑음광양시7.6℃
    맑음진도군3.0℃
    흐림봉화6.8℃
    흐림영주7.5℃
    흐림문경7.3℃
    구름많음청송군7.5℃
    구름조금영덕9.7℃
    구름많음의성7.7℃
    맑음구미7.8℃
    맑음영천9.2℃
    맑음경주시9.8℃
    맑음거창6.7℃
    맑음합천8.8℃
    맑음밀양10.4℃
    맑음산청6.8℃
    맑음거제10.5℃
    맑음남해8.5℃
    맑음9.6℃
  • 최종편집 2025-04-05(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및 경보발령 이후 일본뇌염 환자 2명이 동시에 확인됨에 따라 예방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대상자의 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올해 신고된 두 환자 모두 60대로 발열, 구토, 인지저하, 어지러움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였으며, 현재 입원치료 중이다. 


대구보건환경연구원과 질병관리청의 확인진단 검사 결과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함에 따라 8월 29일 확인진단 되었다.


역학조사 결과, 최근 야간 및 야외활동(제초작업, 논밭농사 등) 이력이 있었으며 모기물림도 확인하였고, 모두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대부분 8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며, 9~10월에 80%의 환자가 집중되고, 50대 이상(87.9%)에서 주로 발생한다. 


56576 (1).jpg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더불어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2011년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자 등에 대해서도 예방접종(유료)을 권장하였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미나리밭,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서 서식하는 암갈색 소형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활동을 하고,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10월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8월말 기준(35주차) 평균 322개체로 전년(271개체) 대비 높게 확인되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고 있고, 9월부터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야외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태그

전체댓글 0

  • 7265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60대 2명, 입원 치료 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9.03 10:4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