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번호 안 넣을 거면 명함은 왜 주나요?”
최근 만난 스텔란티스코리아 방실 대표는 휴대전화 번호는 물론, 사무실 전화번호조차 없는 명함을 기자에게 건넸다. 이름과 직책, 회사명과 이메일만 적힌, 일견 간결해 보이는 이 명함은 오히려 한 기업의 소통 철학 부재를 드러내는 상징처럼 읽힌다.
방 대표는 과거 폭스바겐코리아 르노코리아 등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총괄하던 홍보 책임자 출신이다. 20년 이상 자동차 업계에서 오랫동안 일한 만큼 기자들과도 오랜 인연이 맺어 있다.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누구보다 잘 알 터.
하지만 지난해 그가 스탈란티스코리아 사장으로 전격 취임하고 난 뒤 변한 건 아닐까. 지프, 푸조 등을 판매하는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최근 국내 시장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프는 올해 15월 누적 677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45% 급감했다. 푸조 역시 같은 기간 345대 판매로 28.5% 감소했다. 올해 초 방 대표가 제시한 “전년 대비 2530% 성장” 목표와는 거리가 먼 성적표다.
그렇기에 이 대표의 소통 방식은 단순한 개인적 선택이 아니라, 기업 리더십 전반을 평가하는 시금석이 된다. 리더의 태도 하나, 명함 한 장이 기업문화와 조직 철학을 투영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스텔란티스코리아 측은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대표님 번호가 너무 전면에 노출될 경우, 미디어나 딜러 등 비즈니스 관계자들이 부서장을 거치지 않고 대표님과 직접 소통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관련 부서 임원들이 난처해지거나 업무 과부하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내부 회의 일정이 많은 만큼 연락이 닿지 않으면 오히려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어, 공식적인 소통 창구는 이메일로 통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명확한 회사의 내부 방침이고, 효율적 업무 분담이라는 점에서 일리는 있다. 그러나 명함은 단지 효율만을 따지는 도구는 아니다. 그것은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이자, 열린 태도의 증표다. 특히 외부와의 접점이 많은 CEO라면, 기본적인 소통 채널의 부재는 자칫 ‘닫힌 조직’이라는 인식을 낳기 쉽다.
이런 배경에서 온라인 여론도 엇갈린다.
“명함에 번호 없으면 업무 의지가 없는 것 아닌가”, “우리는 의무로 번호 기재한다”는 비판적 의견이 있는가 하면, “연락 폭주를 피하려는 고육지책일 수 있다”, “업무용 폰이 따로 없는 사람에게는 당연한 선택”이라는 의견도 있다.
어떤 이는 “그게 대한민국의 카스트 제도다. 기록한 사람은 출세 못한 사람, 기록 안 해도 되는 사람은 아쉬울 게 없는 사람”이라는 냉소를 남기기도 했다.
지금 이 시대의 리더에게 요구되는 덕목은 ‘간결함’이 아니라 ‘열려 있음’이다. 소통하지 않는 리더십이 만든 침묵은, 때로는 실적 부진보다 더 깊은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
'Communication business card' without phone number...Is communication disconnection poor performance
BEST 뉴스
-
[인튜브의 에듀테크 이야기]에듀테크, 평생교육의 동반자
현대 사회의 지식과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개인의 지식 습득은 물론 사회적 동화를 위해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평생에 걸친 지속적인 학습,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 이상 청소년기까지의 의무교육만으로는 평생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을 다 얻을 수 없기 때문이... -
전화번호 없는 ‘무소통 명함’…소통 단절이 실적 부진?
“핸드폰 번호 안 넣을 거면 명함은 왜 주나요?” 최근 만난 스텔란티스코리아 방실 대표는 휴대전화 번호는 물론, 사무실 전화번호조차 없는 명함을 기자에게 건넸다. 이름과 직책, 회사명과 이메일만 적힌, 일견 간결해 보이는 이 명함은 오히려 한 기업의 소통 철학 부재를 드러내는 상징처럼 읽힌다. ... -
AI 디지털교과서, ‘진짜’ 교과서가 될 수 있는가
디지털 기기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디지털 기기의 발전은 우리의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기의 발전 흐름 속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듯 교육이 디지털로 전화하는 흐름 속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슈는 기존의 전통 서책 교과서를 대신해... -
오늘도 어쩔 수 없이 가게 문을 열었습니다
“벌써 오후 두 시가 다 되어간다. 어쩔 수 없이 가게 문을 열어놨지만 지금까지 단 한 명의 손님도 들어오지 않았다. 냉장고에는 판매를 위해 들여온 해산물들이 냉동 상태로 벌써 일주일째 쌓여 있다. 하염없이 출입문을 바라보며, 타들어가는 가슴만 부여잡고 있다.” 얼마 전 ‘아프니까 사장이다’라는 자영업자 ... -
[논평] 1,275일 만에 김건희 석사학위 취소…국민대도 응답해야
김건희 여사의 석사학위가 2025년 6월 24일부로 공식 취소됐다.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위원회가 전날 총장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했고, 당일 총장의 결재로 최종 확정됐다. 지난 2021년 12월 27일 표절 의혹이 제기된 이후 1,275일 만의 일이다. 이 오랜 시간은 단순한 행정 절차 지연이 아니다. 권력과 대학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