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강버스가 또다시 운항 중 고장으로 회항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정식 운항을 시작한 지 불과 열흘 남짓한 가운데 벌써 세 번째 사고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0분 마곡 선착장을 출발해 잠실로 향하던 한강버스 104호가 가양대교 인근에서 방향타 이상이 발생했다. 운항사는 안전을 위해 즉시 회항을 결정했고, 선박은 10분 뒤인 12시 50분 마곡 선착장으로 되돌아와 승객 70명을 모두 하선시켰다. 승객 전원은 환불 안내를 받았다.
현재 해당 선박은 점검·수리에 들어갔으며, 이로 인해 후속 운항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오후 3시 30분 잠실 출발 마곡행, 오후 6시 마곡 출발 잠실행 운항은 전면 취소됐다. 시는 각 선착장에 이 같은 내용을 공지하고 시민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한강버스의 고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2일에도 옥수 출발 잠실행 102호, 잠실 출발 마곡행 104호에서 전기 계통 이상이 발생해 운항이 중단된 바 있다.
서울시가 대중교통 대체 수단으로 야심 차게 선보인 한강버스가 연이어 고장을 일으키면서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고 소식이 전해지자 즉각 시민들은 “개통 일주일 만에 세 번 고장이라니… 이게 진짜 교통수단 맞냐” “세금 들여 만든 거라 더 화난다. 차라리 버스 타고 다리 건너는 게 낫겠다” “아이랑 같이 타보려고 했는데 무섭다. 안전성 확보되기 전까진 못 탈 듯” 등의 불만을 내보였다.
일부는 “새로운 시도 자체는 응원하지만, 최소한 안전 문제는 철저히 검증하고 운행했어야 한다”는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