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지방세 체납액 466억 원… 1인 최고 11억 체납자도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05 18:1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서울·경기 집중… 고액 체납자 296명, 전체의 28% 차지

AKR20250923107400065_01_i_org.jpg
외국인 가택 수색 과정에서 압수한 현금과 명품가방 [부천시 제공, 연합뉴스]

 

외국인의 지방세 체납액이 400억 원을 훌쩍 넘어서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는 1인당 10억 원이 넘는 고액 체납 사례도 있었다.


5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의 지방세 체납액은 ▲2022년 409억 원 ▲2023년 434억 원 ▲2024년 466억 원으로 3년 새 57억 원(약 14%) 증가했다.


세목별로는 ▲자동차세 181억 원 ▲지방소득세 115억 원 ▲지방교육세 65억 원 ▲재산세 63억 원 ▲주민세 19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3년간 증가한 56억 원 가운데 절반 가까운 23억 원이 자동차세에서 발생했다.


1,000만 원 이상을 체납한 고액 체납 외국인은 296명으로, 이들이 미납한 금액만 130억 540만 원에 달해 전체 체납액의 28%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54억 8,600만 원(103명) ▲경기 51억 1,800만 원(97명) ▲제주 7억 4,100만 원(24명) ▲인천 5억 1,000만 원(20명) ▲부산 3억 5,900만 원(9명) 순이었다.


개별 사례를 보면 ▲서울 거주 중국인 체납자(지방소득세 11억 6,700만 원) ▲경기 거주 미국인 체납자(지방소득세 10억 3,000만 원) ▲부산 거주 미국인(1억 7,700만 원) ▲제주 거주 한국계 중국인(1억 4,100만 원) 등 고액 체납자가 다수 확인됐다.


한병도 의원은 “외국인 체납자에 대해서도 내국인과 동일하게 엄정한 징수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며 “거주지 이전 및 출입국 내역을 철저히 관리해 징수율을 높이고, 고액 체납자에 대한 제재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외국인 지방세 체납액 466억 원… 1인 최고 11억 체납자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