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사진] 폭스바겐 A.G 마틴 빈터콘 회장.jpg](http://wemakenews.co.kr/n_news/peg/1503/a7f652ff739c7fa7074c4eb02eccd48a_lBpXz6oJywNpsN.jpg)
폭스바겐그룹이 지난 2014년 한해 동안 전세계 그 어떤 회사보다도 많은 금액인 115억 유로(한화로 약 14조1천억원)를 연구 개발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2015 제네바 국제 모터쇼 전 날인 2일 열린 폭스바겐 그룹나이트(Volkswagen Group Night)에서, 폭스바겐 AG의 마틴 빈터콘(Prof. Dr. Martin Winterkorn) 회장은 "폭스바겐은 혁신의 씽크탱크(Think Tank)이며 미래를 향한 길을 정확하게 짚어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퓨쳐트랙, 총 4만 6천여명의 연구원 및 개발자, 1만명 이상의 IT전문가가 미래의 이동수단을 연구
빈터콘 회장에 의하면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이 회사에는 4만6천여명의 연구원과 개발자들, 그리고 1만여명의 IT 전문가들이 대안적인 주행 컨셉이나 자동차와 공장의 디지털화와 같은 미래의 이동수단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전기자동차, 자동차와 공장 그리고 리테일의 디지털화와 같은 자동차 업계의 미래 이슈 혹은 자동차의 역할을 변화시키고 또 어느 정도까지는 재정의 하는 사회 변화 등에 주목하고 있다. 빈터콘 회장은 "폭스바겐의 미래 지향적인 퓨쳐 트랙(Future Tracks) 프로그램은 이 모든 활동들을 아우르는 상위 개념"이라고 말했다.
빈터콘 회장은 "기술은 그 자체로 끝이 아니다. 폭스바겐의 모든 기술은 사람들, 즉 우리 고객들을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기술들은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운전을 가능케 하고, 자원과 환경을 보호하고, 또 모바일 세상과 디지털 세상과의 융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특히 유럽의 산업 전반에서 새로운 기술을 처음부터 의심의 눈초리로 보지 않고, 혁신이 진정하게 환영 받는 분위기가 형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자동차 엔지니어링과 제조의 중심에 있는 유럽이 무인자동주행 시스템(piloted driving)과 같은 주요 기술들을 의지를 가지고 빠르게 밀고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빈터콘 회장은 "여러분들께는 놀랍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애플, 구글 그리고 자동차 업계의 타사들의 관심을 저는 매우 환영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는 디지털 네이티브(컴퓨터, 휴대전화 등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성장한 세대)들이 새로운 자동차를 더 잘 받아들일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빈터콘 회장은 폭스바겐 그룹은 센서 기술과의 연결성(connectivity)덕분에 이미 세계 최대의 네트워킹된 플릿과 저-CO2 플릿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미 현재 라인업의 57개 모델 라인업이 이산화 탄소 배출량95g 목표를 달성한다고 강조했다. 폭스바겐은 실제로, 자동차 업계에서도 9개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보유, 가장 광범위한 전기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폭스바겐의 친환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
빈터콘 회장은 "폭스바겐은 친환경 목표 달성을 위해 열과 성의를 다하고 있다"며 "현재의 낮은 유가가 이를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유가가 평생 지금 수준으로 낮을 수는 없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한도는 연료 가격과 무관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기후 보호를 위한 우리의 책임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행의 다양성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법은 옳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더욱 효율적인 휘발유 및 디젤 엔진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한 가지 꼭 확실하게 해두고 싶은 게 있다. 디젤에 대해 평가 절하하는 사람들은 이산화 탄소 목표 달성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2012년 폭스바겐 그룹이 실시한 생태학적 재조정 이니셔티브의 현 상태는 매우 긍정적이며, 폭스바겐은 자사의 가장 중요한 친환경 목표를 예상보다 빨리 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연합의 신차 배출 기준은 작년 약 125g으로 낮춰졌다. 이는 2010년 대비 13% 그리고 1995년 대비 31% 낮아진 수치이다. 이는 폭스바겐 그룹은 이미 2015년의 법적 한계보다 이미 더 낮은 배출 기준을 갖추고 있다. 생산 과정은 4년 동안 19% 더 친환경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문제 없이 25% 타깃 달성이 가능 할 것이다. 빈터콘 회장은 "올해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 힘들 것이다. 지금부터 우리가 줄이는 1g과 1%는 모두 매우 힘든 싸움의 결과 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폭스바겐 그룹 1월, 2월 높은 영업 성과 달성
폭스바겐은 영업성과에 있어 좋은 출발을 보였다. 폭스바겐 그룹은 사상 최초로 1월과 2월 총 150만대 이상의 차를 고객에게 인도했다. 작년 폭스바겐 그룹은 최초로 연간 판매량 1천만대 시대를 열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