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 비롯한 전국 전세 가격 상승세 완화 중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0.12.24 21:1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세가격 상승이 조금씩 둔화되고 있다. 서울이 지난주 상승률 0.43%에서 이번주 상승률 0.39%로 낮아졌고, 전국은 지난주 0.3%대에서 이번주 0.2%대로 완화됐다. 


반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최근 3주동안 0.3%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산서구·동구를 비롯해 덕양구까지 고양시의 상승세가 매우 높았다. 


지난주까지 매수우위지수가 100을 넘었던 광주와 대전 지역이 100이하로 떨어지면서 ‘매도자 많음’ 동향을 보여 향후 매매 가격에 변화를 암시하였다.


서울의 매매가격은 0.38% 상승률을 보이며 지난주(0.36%) 상승률과 유사하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기준점인 100을 넘는 112.3을 기록하며 조금씩 매수문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23%) 매매가격도 상승했지만 지난주 상승률(0.35%)보다는 둔화됐다. 세종(0.39%), 경남(0.37%), 경북(0.35%), 충북(0.28%), 강원(0.19%), 충남(0.10%), 전북(0.08%), 전남(0.01%)이 상승했고, 하락 지역은 없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39% 상승률을 보이며 지난주(0.43%) 상승률보다 축소되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8%)는 울산(0.42%), 대구(0.25%), 대전(0.17%), 부산(0.14%), 광주(0.02%) 모두 상승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12%) 전세가격도 지난주 상승률(0.26%)보다 소폭 낮아졌다.  세종(0.75%), 경남(0.17%), 경북(0.16%), 전남(0.06%), 전북(0.05%), 충북(0.04%), 충남(0.01%)은 상승했고, 강원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5.png

 

6.png


[매매 서울] 최근 3주간 0.3%대 상승률 유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36%) 상승률과 유사한 0.38% 상승률을 보였다. 동대문구(0.66%), 성동구(0.59%), 구로구(0.58%), 은평구(0.49%), 노원구(0.49%)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다.


7.png

 

[매매 경기·인천] 경기 고양 강세 보임, 인천도 상승세 지속


경기는 전주대비 0.43%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지난주(0.54%)보다 상승률이 조금 둔화되고 있다. 고양 일산서구(0.95%), 고양 덕양구(0.87%), 고양 일산동구(0.77%), 용인 수지구(0.74%), 김포(0.74%)가 높게 상승했고, 동두천(-0.19%)만 하락했다. 인천(0.30%)은 연수구(0.54%), 부평구(0.43%), 서구(0.31%) 등 전주대비 상승했다.


8.png


[전세 전국] 전세가격 전주대비 0.23%로 상승폭 둔화(지난주 0.33%)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23%를 기록했다. 수도권(0.30%)과 5개 광역시(0.18%), 기타 지방(0.12%)은 모두 지난주 상승률보다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서울은 전주 상승률(0.43%)보다 축소된 0.39%를 기록했고, 경기(0.28%)는 전주대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0.42%), 대구(0.25%), 대전(0.17%), 부산(0.14%), 광주(0.02%)  모두 상승을 기록했다.


9.png



10.png

 

[전세 서울] 전세가격 상승폭 소폭 낮아짐


서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39%를 기록하며 지난주 상승률 0.43%보다 축소됐다. 강남구(0.78%), 강북구(0.75%), 노원구(0.67%), 송파구(0.59%), 구로구(0.58%)의 상승이 높고, 하락 지역 없이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다.


11.png

 

[전세 경기·인천] 경기, 인천 상승세를 보이지만 상승폭 낮아짐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도 구리, 시흥 등의 상승으로 전주대비 0.28%를 기록했고, 인천(0.15%)도 전주대비 상승했다. 경기에서는 구리(0.81%), 시흥(0.79%), 의왕(0.76%), 의정부(0.65%), 용인 수지구(0.64%) 등이 높게 상승했고, 인천에서는 연수구(0.41%), 서구(0.20%), 중구(0.16%), 남동구(0.15%) 등이 상승했다.


12.png


[매수자·매도자 동향지수] 서울 112.3으로 매수심리 확대 중, 광주·대전은 100아래로 떨어지며 ‘매도자 많음’을 보임


13.png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주(109.9) 대비 상승한 112.3을 기록했다. 매도 문의는 줄어드는 반면 매수 문의는 점차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주까지 100을 초과하여 매수심리가 높았던 광주와 대전이 각각 87.7, 95.0으로 기준점인 100아래로 떨어지면서 ‘매도자 많음’을 보였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권성동 의원 큰절, 통일교 교주 아닌 부모·어르신께 해야”
  • 해외직구 식품서 마약류 성분 무더기 적발…소비자 주의 당부
  • 올해 銀 정기예·적금 중도해지 74조…침체된 서민경제 단면
  • 영주 산모 사망…혈액·마취·전원체계 ‘삼중 공백’ 드러나
  • 오비맥주 카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맥주·논알콜 부문 동시 수상
  • “1위 하면 식사권 쏜다”… 이디야커피, 권성준 셰프 협업 메뉴 출시
  • 최수진 “북한 방사선 폐수… 원안위에 조사 권한 줘야”
  • 강경숙 “매관매직 의혹 이배용 교육위원장, 즉각 사퇴하라”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 기아, 2025년 하반기 집중 채용 돌입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서울 비롯한 전국 전세 가격 상승세 완화 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