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나이 많아질수록 비만 감소, 저체중 증가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1.12.16 11:4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65세 이상 노인을 다시 나이에 따라 4개 그룹으로 세분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율은 감소하고 저체중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녀 노인 모두에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높아지는 질병은 고혈압과 빈혈이었다.  


644.jpg
남성 노인의 저체중 비율은 2.2%(65∼69세 그룹)에서 4.7%(80세 이상)로, 여성 노인은 1.3%에서 4.9%로 증가했다. 사진=픽사베이

1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성신여대 식품영양학과 이승민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3,231명을 연령대에 따라 ‘65~69세 그룹’ㆍ‘70~74세 그룹’ㆍ‘75~79세 그룹’ㆍ‘80세 이상 그룹’ 등 네 그룹으로 나눈 뒤 그룹별 영양과 질병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노인의 연령 세분화에 따른 식사의 질과 주관적 건강 관련 인식 및 만성질환의 연관성)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노인은 남녀 모두 나이가 더 많아질수록 영양소 섭취량이 감소했다. 식생활 평가지수 점수도 낮아졌다. 이는 노인의 나이가 더 많아지면서 식사의 양과 질 모두가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남녀 노인 모두 나이가 많아질수록 고혈압과 빈혈 유병률이 증가했다. 남성의 고혈압 유병률은 51.8%(65∼69세 그룹)에서 71.2%(80세 이상 그룹)로 높아졌다. 여성도 51.6%에서 79.3%로 증가했다.

 동맥경화 진행을 촉진할 수 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노인이 나이 들수록 감소했다. 노인 남성의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도 나이 들수록 낮아졌다. 이는 고중성지방혈증이 술과 관련이 있고, 남성 노인이 나이를 먹으면서 음주를 자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만율은 남녀 노인 모두에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낮아졌다. 남성 노인의 비만율은 35.8%(65∼69세 그룹)에서 20.9%(80세 이상 그룹)로, 여성 노인의 비만율은 40.5%에서 38.2%로 감소했다. 남성의 비만율 감소가 더 두드러졌다. 반면 남성 노인의 저체중 비율은 2.2%(65∼69세 그룹)에서 4.7%(80세 이상)로, 여성 노인은 1.3%에서 4.9%로 증가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의 영양소 섭취량이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한미글로벌, 쿠웨이트·사우디 잇단 수주…중동서 470억 낭보
  • 한국철도공사, 공공기관 중 직장 내 괴롭힘 노동청 진정 1위
  • 점주·고객 모두 잡는 ‘소자본 창업’…육수당 성장세
  • 더벤티, ‘시그니처 로스트’ 업그레이드…점주·고객 의견 담았다
  • 국세청 겨냥한 사이버 공격, 올해 폭증…8월까지 역대 최다
  • 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예산 ‘전국 꼴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야구 직관엔 뿌링클” … bhc, 프로야구장 최다 판매 메뉴 1위
  • 소비자분쟁조정 4개월 걸려도 해결 못해… 평균 123일 vs 법정 30일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노인의 나이 많아질수록 비만 감소, 저체중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