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흡연 조사 때 흡연자의 5% 이상은 ‘안 피운다’고 거짓 응답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3.01.12 16:5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여자 청소년의 실제 흡연율은 본인이 밝힌 흡연율의 두 배

청소년의 실제 흡연율은 조사 때 ‘스스로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한 비율보다 5%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여자 청소년의 실제 흡연율은 본인이 밝힌 흡연율의 두 배 이상이었다. 

 

man-2358924_1280.jpg
일러스트=픽사베이

 

1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원광대 산본병원 가정의학과 서유빈 교수팀이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2∼18세 청소년 1,258명을 대상으로 실제 흡연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청소년에서 자가보고와 요중 코티닌으로 측정한 흡연율 및 거짓 보고 연관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20))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이 연구에서 청소년이 스스로 ‘현재 흡연자’라고 보고한 비율은 8.2%(94명)였다. 서 교수팀이 요중(尿中) 코티닌 검사를 통해 실제 흡연자로 확인한 청소년의 비율(13.8%, 142명)은 이보다 5.6% 높았다. 청소년의 5% 이상이 흡연율 조사 때 거짓으로 응답하는 셈이다.  

 

본인이 밝힌 흡연율은 남자 청소년 11.6%, 여자 청소년 3.2%였다. 실제 흡연율은 남자 청소년 18.4%, 여자 청소년 6.9%였다. 여자 청소년의 실제 흡연율은 본인이 밝힌 흡연율보다 두 배 이상이었다. 

 

니코틴 대사물질의 하나인 코티닌은 흡연 여부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지표다. 코티닌은 반감기가 길고 안정적인 농도를 보이므로, 요중 코티닌 농도는 흡연 여부ㆍ흡연량을 측정하는 좋은 지표로 인정된다. 서 교수팀은 요중 코티닌 농도가 ㎖당 50ng 이상이면 ‘현재 흡연 상태’인 것으로 간주했다.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느냐?’는 질문에 여자 청소년의 거짓 응답 가능성은 남자 청소년보다 4.1배 더 높았다. 가구 소득이 높은 청소년의 거짓 응답 가능성은 소득이 낮은 청소년의 2.3배였다. 반면 우울감을 느끼는 청소년의 거짓 응답 가능성은 우울감을 느끼지 않는 청소년의 절반 수준이었다. 

 

서 교수팀은 논문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율 조사에서 자가 설문 방식은 부정확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며 “요중 코티닌 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를 함께 해야 정확한 청소년 흡연율을 파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롯데웰푸드, 중량물 이송 보조기구 ‘플렉스리프트’ 본격 도입
  • 보이스피싱 피해액 5년 만에 4조 돌파… “정부 대응 미온적” 비판
  • 삼성물산, 건설 상장사 브랜드 지수 1위… ESG·해외성과 반영
  • 단통법은 사라졌지만… 휴대폰 유통점 ‘호갱’ 행위는 여전
  • 해킹 피해 속출…개인정보 불법유통 64만건 확인
  • 304만 요양보호사 중 실제 활동자는 70만…저임금에 제도 붕괴 위험
  • 롯데건설 ‘잠실 르엘’, 분양 3일 만에 완판…최고 761대 1 경쟁률
  • LH 미매각 토지 여의도 4.9배…수도권 주택 7만여 호 공급 가능
  • 국세외수입포털, 국민 세금으로 만들었지만 하루 이용자 2명에 그쳐
  • 충남 건설사 1천여 곳 폐업…복기왕 “지역 균형발전 동력 지켜야”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청소년 흡연 조사 때 흡연자의 5% 이상은 ‘안 피운다’고 거짓 응답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