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파 TV 채널의 예능 프로그램이 동영상 플랫폼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방송인 유재석과 가수 성시경에 이어 신동엽까지 유튜브에 진출하면서 예능 프로그램의 무게 중심이 기존 TV 채널에서 웹 플랫폼으로 옮겨지는 분위기다.
8일 연합뉴스와 유튜브 채널 통계 분석 사이트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 8월 개설된 유튜브 채널 '짠한형 신동엽'은 이달 7일까지 18개의 영상으로 누적 총 2593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구독자만 59만5천명을 넘어섰다.
영상별 평균 조회수는 287만회를 넘고 매일 수천 명씩 구독자가 늘고 있다.
신동엽 이전에도 유명 연예인이 유튜브에 뛰어들어 성공한 사례는 많다. 유재석이 출연하는 유튜브 채널 '뜬뜬'은 지난해 11월 개설돼 136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영상 평균 232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가수 성시경도 지난 20년 12월 자신의 이름을 딴 채널 '성시경'을 시작해 현재 구독자가 160만명에 달한다. 영상 평균 조회수는 76만회를 넘고 있다.
가수 겸 방송인 탁재훈의 '노빠꾸탁재훈' 채널은 작년 3월 첫 영상 공개 이래 132만명 구독자를 모았다. 영상 평균 조회수가 232만회에 달한다.
유명 예능인들이 유튜브 채널을 만들면서 예능 콘텐츠의 무게중심이 TV 채널에서 웹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 상황을 보여준다.
소비자가 영상 콘텐츠를 정해진 시간에 TV 앞에서 시청하기보다 언제든 원하는 때 휴대전화와 PC 등 원하는 기기로 시청하는 것이 새로운 영상 소비 방식으로 자리 잡은 결과다.
유튜브 예능이 무조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경규의 유튜브 채널 '르크크 이경규'는 올해 4월부터 동영상을 공개했으나 6일 현재 구독자 9만9천여명, 영상 평균 조회수 26만8천회 수준이다. 방송인 강호동은 작년 12월부터 'SM C&C 스튜디오' 채널의 예능 '강호동네방네'에 출연 중이지만, 아직 100만 조회수를 넘긴 동영상이 없다.
실패 사례도 있다. '술먹지상렬'은 방송인 지상렬의 취중 토크쇼를 담은 예능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나 지상렬과 제작진이 지난 5월 게스트인 래퍼 스윙스에게 무례하게 대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뒤 영상 업로드가 중단되기도 했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