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 동네 공기, 누가 책임지나요?”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4.26 13:4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박정 의원, 기업 화학물질 배출 줄이도록 법 개정 나서

주민들이 매일 마시는 공기, 안심하고 들이마실 수 있을까?


박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파주시을)이 25일 대표발의한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은 바로 이런 물음에 답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핵심은 이렇다. 기업들이 제출하는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가 말뿐이 아닌 ‘실행’으로 이어지게 하자는 것이다.


현재 대형 사업장은 유해 화학물질을 얼마나, 어떻게 줄이겠다는 계획서를 5년마다 환경부에 제출하게 돼 있다. 하지만 그 이행 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법적 장치는 없어, 사실상 "쓰고 끝"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5a5a474550a13_O.jpg
일러스트=연합뉴스 스톡이미지

 

실제로 지난 몇 년간 정부가 직접 확인한 사업장은 손에 꼽을 정도. 2020년에는 47곳, 올해는 단 2곳에 불과했다.


박 의원은 “계획서만 쓰고, 실행은 기업 자율에 맡기다 보니 공기 질이나 주민 안전에 큰 도움이 안 됐다”고 말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개정안은 지자체가 지역 협의체를 만들어 기업들과 배출저감 방안을 논의하고, 그 활동에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도 마련했다. 예를 들어 충남 서산시는 한때 지역협의체를 통해 대산 산업단지에서 나오는 벤젠 농도를 모니터링하며 성과를 냈지만, 법적·재정적 뒷받침이 부족해 현재는 활동이 위축된 상태다.


이번 개정안이 통과되면 이런 협의체 활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이번 개정안은 기업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되어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국세청 겨냥한 사이버 공격, 올해 폭증…8월까지 역대 최다
  • 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예산 ‘전국 꼴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야구 직관엔 뿌링클” … bhc, 프로야구장 최다 판매 메뉴 1위
  • 소비자분쟁조정 4개월 걸려도 해결 못해… 평균 123일 vs 법정 30일
  • 스쿨존인가 스모킹존인가… 흡연 과태료 2년 만에 10배 늘어
  • 관세 체납자 절반, 10년 이상 장기체납… 체납액만 1조원대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 한전기술, 독일 JBO와 해상풍력 손잡았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우리 동네 공기, 누가 책임지나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