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안도걸 “스테이블코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선제적 대응 필요”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8.19 17:1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안도걸 의원, 한국은행 총재에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촉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은 19일 열린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한국은행 총재를 상대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관련한 핵심 쟁점을 조목조목 질의하며, 제도적 대응을 통한 선제적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65.jpg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 사진=안도걸 의원실 제공


안 의원은 이날 발언에서 “한국은행이 스테이블코인 도입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통화정책, 금융불안, 외환규제 약화 등의 문제를 과도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막연한 걱정보다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통화정책 유효성 우려와 관련해 안 의원은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전체의 99%를 차지하지만, 미국 통화량(M2)의 1.3%에 불과하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단기간 내 통화정책을 심각하게 제약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반박했다.


코인런 등 금융리스크에 대해서도 “뱅크런 위험이 있다고 은행을 없애지 않듯, 코인런 우려만으로 제도를 막아서는 안 된다”며 ▲준비자산 요건 ▲우선상환변제권 ▲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전 세계 하루 외환거래 규모가 7조5000억 달러에 달하는 점을 들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약 2800억 달러가 매도되더라도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외환규제 우회나 환투기 위험도 기존 역외선물환(NDF) 시장에 비해 크지 않으며, 제도적 모니터링 장치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안 의원은 한국은행의 은행 중심 발행 방식이 핀테크 혁신을 제약한다고 지적하며, 핀테크 참여를 통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확장 필요성을 강조했다. 난립 우려는 자본금 요건과 감독 규정으로 관리 가능하므로, 도입을 미루기보다 선제적 리스크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은행 예금 축소 우려에 대해서는 “법률안에 따라 이자 지급을 전면 금지해 은행예금 대체를 원천 차단했고, 발행인의 준비금 역시 은행권에 재유입되므로 자금중개 기능 약화와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안 의원은 끝으로 “스테이블코인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며, 이미 국제 금융질서를 재편하는 새로운 질서로 자리 잡고 있다”며 “규제로 막으려 하기보다 제도적 장치를 통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먹튀주유소 5년간 675억 탈세… 실제 추징은 고작 1%”
  • 마사회, 마권 구매한도 ‘1회 10만원’ 위반 1만여건… 솜방망이 처분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안도걸 “스테이블코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선제적 대응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