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
콩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가 피해야 할 식품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5.09 13:58
-
고 이건희 회장 유산 절반 약 12조원 기부, 미술품 기증도
- 전체
- 경제
- 이슈/포커스
2021.04.28 17:22
-
‘물속을 나는 양탄자?’ 나뭇잎 모사한 수중 소프트 로봇 개발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23 21:28
-
'종이접기에서 영감' 세상에 없던 트랜스포머 바퀴 개발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9 18:07
-
암호화폐 이더리움 핵심 오류 잡은 서울대 전병곤 교수팀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8 18:22
-
서울대 공대, 배터리 전력 효율 극대화 기술 관련 최초 규명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2 17:34
-
서울대 공대, 펜으로 그리는 4D 프린팅 기술 개발
- 전체
- IT/신기술
- 4차산업/ AI
2021.03.26 19:01
-
유방암, 폐암 제치고 세계 암 발생 1위 등극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3.16 16:13
-
집의 변신 '레이어드 홈' 영화관, 오피스로 확장
- 전체
- 문화
- 문화일반
2021.02.22 10:43
-
효과적인 미세 먼지 저감 원천 기술 찾았다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2.15 16:39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2상서 안전성 입증
- 생활밀착형뉴스
- 10995
2021.01.14 07:47
-
센서 하나로 웨어러블 로봇 연구 새 시대 열다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1.08 20:51
-
2020 올해의 책 ‘달러구트 꿈 백화점’ 3주 연속 1위
- 전체
- 문화
- 출판/학술
2021.01.07 13:28
-
토종 신조어 ‘언택트’, 대통령 이름보다 뉴스에 더 등장
- 전체
- 사회
2020.12.23 01:08
-
빈혈 있는 어린이ㆍ청소년 천식 유병률 2배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0.12.21 14:30
-
콩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가 피해야 할 식품
최근 국내에서도 환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의 섭취 제한 식품 리스트에 콩ㆍ미역ㆍ브라질너트 등이 올랐다. 미국의 건강 전문 웹 미디어인 ‘베리웰 헬스’(Verywell health)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을 때 먹어야 할 것’(What to eat when you have Hy...-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5.09 13:58
-
고 이건희 회장 유산 절반 약 12조원 기부, 미술품 기증도
삼성전자는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유족들이 의료 공헌과 미술품 기증 등을 통해 사회 환원을 실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의료 공헌·미술품 기증·상속세 12조 이상, ‘사회 환원’ 실천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유족들이 사상 최고 수준의 상속세를 납부하는 동...- 전체
- 경제
- 이슈/포커스
2021.04.28 17:22
-
‘물속을 나는 양탄자?’ 나뭇잎 모사한 수중 소프트 로봇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조규진(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연구센터장) 교수 공동 연구팀이 종이처럼 얇은 수중 소프트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은 얇은 피부 형태의 밀도 분포 제어 기술을 개발해 종이처럼 얇은 구조의 새로운 수중 거동 형태...-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23 21:28
-
'종이접기에서 영감' 세상에 없던 트랜스포머 바퀴 개발
종이접기에서 차용한 설계 기술로 필요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1톤급 하중을 견디는 트랜스포머 바퀴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조규진(인간중심 소프트 로봇기술 연구센터장) 교수 연구팀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공동 연구팀이 1톤급 차량에 적용 가능한 트랜스포머 바퀴를 개발...-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9 18:07
-
암호화폐 이더리움 핵심 오류 잡은 서울대 전병곤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에서 치명적으로 작동하는 핵심 오류를 발견하고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버그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와 양영석 박사가 조지아 공과대학 김태수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더리움 컨...-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8 18:22
-
서울대 공대, 배터리 전력 효율 극대화 기술 관련 최초 규명
나노전기수력학 현상의 핵심 기작을 최초로 증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수담수화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 다공성 막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거나 배터리에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교수팀이 스탠퍼드 대학교...-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2 17:34
-
서울대 공대, 펜으로 그리는 4D 프린팅 기술 개발
펜으로 그린 그림을 3차원 입체 구조물로 변환하는 4D 프린팅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지윤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잉크 펜과 물만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4...- 전체
- IT/신기술
- 4차산업/ AI
2021.03.26 19:01
-
유방암, 폐암 제치고 세계 암 발생 1위 등극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기반 조기 진단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가 3월 21일 ‘암 예방의 날’을 맞아 최근 세계 암 발생 1위에 오른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올해 초 ‘임상의학의를 위한 암 저널’에 게재된 해외 논문에 따르면 2020년 한 해간 전 세계적으로 약 1930만명의 암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3.16 16:13
-
집의 변신 '레이어드 홈' 영화관, 오피스로 확장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집이 변화하고 있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내놓은 ‘트렌드 코리아 2021’에서는 집에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레이어드 홈(Omni-Layered Homes)을 올해 트렌드 중 하나로 꼽았다. 레이어드 홈은 옷을 겹쳐 입는 것처럼 집의 기본 기능인 휴식처의 역할에 각자의 취향과 개성에 따라...- 전체
- 문화
- 문화일반
2021.02.22 10:43
-
효과적인 미세 먼지 저감 원천 기술 찾았다
미세 먼지의 원인으로 꼽히는 환경 오염 물질인 질소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팀에 의해 개발됐다. 김도희 교수 연구팀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미세먼지연구센터와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해 저온에서도 질소 산화물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2.15 16:39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2상서 안전성 입증
셀트리온은 지난 13일 개최된 ‘2021 하이원 신약개발 심포지아’에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주(성분명 레그단비맙·Regdanvimab, 개발명 CT-P59)’의 글로벌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결과 발표는 임상에 직접 참여한 엄중식 가천대학교 길병원 감염내...- 생활밀착형뉴스
- 10995
2021.01.14 07:47
-
센서 하나로 웨어러블 로봇 연구 새 시대 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팀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움직임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소프트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박용래 교수는 ”이 기술을 통해 로봇을 훨씬 더 직관적이고 쉽게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술 개발이...-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1.08 20:51
-
2020 올해의 책 ‘달러구트 꿈 백화점’ 3주 연속 1위
예스24 독자가 선정한 ‘2020 올해의 책’ 어른을 위한 힐링 판타지 소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 3주 연속 1위에 등극했다. 마우로 기예 와튼스쿨 교수의 미래 전망서 <2030 축의 전환>이 2위에 올랐고,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트렌드 전망서 <트렌드 코리아 2021>은 3위를 차지했다...- 전체
- 문화
- 출판/학술
2021.01.07 13:28
-
토종 신조어 ‘언택트’, 대통령 이름보다 뉴스에 더 등장
코로나에 이은 언택트 마케팅 돌풍으로 국산 신조어인 ‘언택트(untact)’가 급속도로 미디어에 파고 들어 대통령 이름보다도 뉴스에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는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을 통해 올해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3달간 신문, 방송, 온라인매체, 잡지 등 4900여 ...- 전체
- 사회
2020.12.23 01:08
-
빈혈 있는 어린이ㆍ청소년 천식 유병률 2배
빈혈이 있는 어린이ㆍ청소년이 없는 또래보다 천식 유병률이 2.1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빈혈 어린이가 천식ㆍ아토피 피부염ㆍ알레르기 비염 등 3대 알레르기(아토피) 질환을 모두 보유할 위험은 빈혈 없는 어린이 대비 거의 네 배였다. 빈혈 예방을 위한 대표...-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0.12.21 14:30
-
콩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가 피해야 할 식품
최근 국내에서도 환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의 섭취 제한 식품 리스트에 콩ㆍ미역ㆍ브라질너트 등이 올랐다. 미국의 건강 전문 웹 미디어인 ‘베리웰 헬스’(Verywell health)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을 때 먹어야 할 것’(What to eat when you have Hyperthyroidism)이란 제목의 4월 19일자 기사에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관련해 권장 식품과 금기 식품을 소...-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5.09 13:58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5.09 13:58
-
고 이건희 회장 유산 절반 약 12조원 기부, 미술품 기증도
삼성전자는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유족들이 의료 공헌과 미술품 기증 등을 통해 사회 환원을 실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의료 공헌·미술품 기증·상속세 12조 이상, ‘사회 환원’ 실천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유족들이 사상 최고 수준의 상속세를 납부하는 동시에 의료 공헌과 미술품 기증 등의 사회 환원을 실천하기로 했다. 이는 국가 경제 기여, 인간 존중, 기부 ...- 전체
- 경제
- 이슈/포커스
2021.04.28 17:22
- 전체
- 경제
- 이슈/포커스
2021.04.28 17:22
-
‘물속을 나는 양탄자?’ 나뭇잎 모사한 수중 소프트 로봇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조규진(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연구센터장) 교수 공동 연구팀이 종이처럼 얇은 수중 소프트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은 얇은 피부 형태의 밀도 분포 제어 기술을 개발해 종이처럼 얇은 구조의 새로운 수중 거동 형태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과는 수중 소프트 로봇의 새로운 형태와 기능성을 제시한 연구로 인정받...-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23 21:28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23 21:28
-
'종이접기에서 영감' 세상에 없던 트랜스포머 바퀴 개발
종이접기에서 차용한 설계 기술로 필요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1톤급 하중을 견디는 트랜스포머 바퀴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조규진(인간중심 소프트 로봇기술 연구센터장) 교수 연구팀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공동 연구팀이 1톤급 차량에 적용 가능한 트랜스포머 바퀴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의 설계 기술과 한국타이어 연구팀...-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9 18:07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9 18:07
-
암호화폐 이더리움 핵심 오류 잡은 서울대 전병곤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에서 치명적으로 작동하는 핵심 오류를 발견하고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버그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와 양영석 박사가 조지아 공과대학 김태수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더리움 컨센서스 버그를 찾는 다중 트랜잭션 차등 퍼져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8 18:22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8 18:22
-
서울대 공대, 배터리 전력 효율 극대화 기술 관련 최초 규명
나노전기수력학 현상의 핵심 기작을 최초로 증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수담수화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 다공성 막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거나 배터리에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김성재 교수팀이 스탠퍼드 대학교 알리 마니(Ali Mani)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에서 비균일(nonuniform)하게 배치된 미세 구조물들 사이에서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2 17:34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4.02 17:34
-
서울대 공대, 펜으로 그리는 4D 프린팅 기술 개발
펜으로 그린 그림을 3차원 입체 구조물로 변환하는 4D 프린팅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지윤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잉크 펜과 물만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4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3D 프린터는...- 전체
- IT/신기술
- 4차산업/ AI
2021.03.26 19:01
- 전체
- IT/신기술
- 4차산업/ AI
2021.03.26 19:01
-
유방암, 폐암 제치고 세계 암 발생 1위 등극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기반 조기 진단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가 3월 21일 ‘암 예방의 날’을 맞아 최근 세계 암 발생 1위에 오른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올해 초 ‘임상의학의를 위한 암 저널’에 게재된 해외 논문에 따르면 2020년 한 해간 전 세계적으로 약 1930만명의 암 환자가 발생했으며, 1000만명이 암으로 목숨을 잃었다. 가장 흔히 진단되는 암에는 △유방암 △폐암 △대장암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3.16 16:13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1.03.16 16:13
-
집의 변신 '레이어드 홈' 영화관, 오피스로 확장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집이 변화하고 있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내놓은 ‘트렌드 코리아 2021’에서는 집에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레이어드 홈(Omni-Layered Homes)을 올해 트렌드 중 하나로 꼽았다. 레이어드 홈은 옷을 겹쳐 입는 것처럼 집의 기본 기능인 휴식처의 역할에 각자의 취향과 개성에 따라 집의 기능을 다양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면서 효율적인 재택 근무가 가...- 전체
- 문화
- 문화일반
2021.02.22 10:43
- 전체
- 문화
- 문화일반
2021.02.22 10:43
-
효과적인 미세 먼지 저감 원천 기술 찾았다
미세 먼지의 원인으로 꼽히는 환경 오염 물질인 질소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팀에 의해 개발됐다. 김도희 교수 연구팀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미세먼지연구센터와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해 저온에서도 질소 산화물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바나듐 기반 촉매시스템을 개발했다. 송인학 박사, 이황호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2.15 16:39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2.15 16:39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2상서 안전성 입증
셀트리온은 지난 13일 개최된 ‘2021 하이원 신약개발 심포지아’에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주(성분명 레그단비맙·Regdanvimab, 개발명 CT-P59)’의 글로벌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결과 발표는 임상에 직접 참여한 엄중식 가천대학교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맡았다. 2021 하이원 신약개발 심포지아는 대한약학회가 주최하는 학회로 13일부터 15일까지 강원...- 생활밀착형뉴스
- 10995
2021.01.14 07:47
- 생활밀착형뉴스
- 10995
2021.01.14 07:47
-
센서 하나로 웨어러블 로봇 연구 새 시대 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팀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움직임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소프트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박용래 교수는 ”이 기술을 통해 로봇을 훨씬 더 직관적이고 쉽게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굵기 6mm, 길이 7cm인 센서 하나면 손목과 같은 관절에 부착해 신체...-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1.08 20:51
- 전체
- IT/신기술
- 과학
2021.01.08 20:51
-
2020 올해의 책 ‘달러구트 꿈 백화점’ 3주 연속 1위
예스24 독자가 선정한 ‘2020 올해의 책’ 어른을 위한 힐링 판타지 소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 3주 연속 1위에 등극했다. 마우로 기예 와튼스쿨 교수의 미래 전망서 <2030 축의 전환>이 2위에 올랐고,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트렌드 전망서 <트렌드 코리아 2021>은 3위를 차지했다. 주제별 연상 암기로 쉽고 재미있게 단어를 외울 수 있는 <해커스 토익 기출 보카>가 4위, 큰별...- 전체
- 문화
- 출판/학술
2021.01.07 13:28
- 전체
- 문화
- 출판/학술
2021.01.07 13:28
-
토종 신조어 ‘언택트’, 대통령 이름보다 뉴스에 더 등장
코로나에 이은 언택트 마케팅 돌풍으로 국산 신조어인 ‘언택트(untact)’가 급속도로 미디어에 파고 들어 대통령 이름보다도 뉴스에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는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을 통해 올해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3달간 신문, 방송, 온라인매체, 잡지 등 4900여 언론매체가 보도한 뉴스를 키워드로 분석해 22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이 기간 동안 언택트 또는 u...- 전체
- 사회
2020.12.23 01:08
- 전체
- 사회
2020.12.23 01:08
-
빈혈 있는 어린이ㆍ청소년 천식 유병률 2배
빈혈이 있는 어린이ㆍ청소년이 없는 또래보다 천식 유병률이 2.1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빈혈 어린이가 천식ㆍ아토피 피부염ㆍ알레르기 비염 등 3대 알레르기(아토피) 질환을 모두 보유할 위험은 빈혈 없는 어린이 대비 거의 네 배였다. 빈혈 예방을 위한 대표적인 영양소는 철인데 한국인의 철 공급 기여 식품 1위는 쌀밥, 2위는 계란이다. 21일 한국식품커뮤니...-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0.12.21 14:30
- 전체
- 사회
- 의료/보건
2020.12.21 1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