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4.8℃
    맑음3.7℃
    맑음철원1.8℃
    맑음동두천4.7℃
    맑음파주1.8℃
    맑음대관령-0.5℃
    맑음춘천4.9℃
    맑음백령도7.3℃
    맑음북강릉5.5℃
    맑음강릉7.2℃
    맑음동해4.9℃
    맑음서울7.9℃
    맑음인천6.1℃
    맑음원주6.2℃
    맑음울릉도6.1℃
    맑음수원4.8℃
    맑음영월5.4℃
    맑음충주6.0℃
    맑음서산2.4℃
    맑음울진3.4℃
    맑음청주8.9℃
    맑음대전8.0℃
    맑음추풍령5.3℃
    맑음안동5.1℃
    맑음상주6.7℃
    맑음포항7.3℃
    맑음군산4.1℃
    맑음대구7.6℃
    맑음전주6.5℃
    맑음울산6.4℃
    맑음창원7.2℃
    맑음광주8.2℃
    맑음부산7.8℃
    맑음통영7.1℃
    맑음목포5.7℃
    맑음여수8.8℃
    맑음흑산도5.6℃
    맑음완도6.1℃
    맑음고창2.3℃
    맑음순천1.5℃
    맑음홍성(예)3.0℃
    맑음5.3℃
    맑음제주9.1℃
    맑음고산9.6℃
    맑음성산8.2℃
    맑음서귀포9.6℃
    맑음진주2.9℃
    맑음강화3.7℃
    맑음양평6.4℃
    맑음이천6.4℃
    맑음인제2.5℃
    맑음홍천4.9℃
    맑음태백-0.8℃
    맑음정선군3.0℃
    맑음제천2.4℃
    맑음보은4.2℃
    맑음천안4.2℃
    맑음보령2.8℃
    맑음부여4.0℃
    맑음금산5.2℃
    맑음7.1℃
    맑음부안5.2℃
    맑음임실2.4℃
    맑음정읍3.5℃
    맑음남원4.3℃
    맑음장수1.5℃
    맑음고창군3.0℃
    맑음영광군3.2℃
    맑음김해시7.8℃
    맑음순창군3.6℃
    맑음북창원8.4℃
    맑음양산시8.4℃
    맑음보성군3.5℃
    맑음강진군4.1℃
    맑음장흥1.8℃
    맑음해남1.9℃
    맑음고흥2.1℃
    맑음의령군3.2℃
    맑음함양군3.2℃
    맑음광양시8.0℃
    맑음진도군2.6℃
    맑음봉화-0.1℃
    맑음영주3.0℃
    맑음문경5.9℃
    맑음청송군0.6℃
    맑음영덕3.4℃
    맑음의성3.4℃
    맑음구미6.1℃
    맑음영천3.7℃
    맑음경주시2.9℃
    맑음거창3.4℃
    맑음합천5.3℃
    맑음밀양4.4℃
    맑음산청5.3℃
    맑음거제6.0℃
    맑음남해6.4℃
    맑음9.1℃
  • 최종편집 2025-04-01(화)
 

1950년대에서 1960년대 미국과 러시아의 핵 개발 경쟁이 한창일 때 이야기입니다.  


방사능이 해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던 학자들이 북대서양 쪽을 연구하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보통 200~300m 정도까지 방사능이 내려가는 한편  북대서양 심해 부근에는  4000m까지 심지어 10000m까지 내려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의문을 갖기 시작한 것이, 지구에는 엄청난 온도조절 장치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224.jpg
그린란드

 

북반구 그린란드.


한반도의 10배 크기의 어마어마한 빙하 근처에서 한겨울에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면 바닷물이 얼어버리겠죠?


그러면 바닷물에 있던 소금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소금물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당연히 무게도 무거워집니다.  따라서 높은 밀도의 소금물들은 점점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죠.


그 소금물 기둥의 넓이가 작게는 1km에서 100km까지 거대하다고 하니 얼마나 엄청난지 상상도 안됩니다.


그렇게 하염없이 심해 바닥으로 내려간 소금 물기둥은 멕시코 만류를 타고 전 세계를 돌고 돌아서 다시 오게 된다는 것을 과학자들이 알게 된 것이죠.


225.jpg

그것을 국산 말로는 '대양 대순환 해류'라고 하고 영어로는 'Oceanic conveyor belt'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차가운 쪽의 물이 더운 쪽으로 흘러서 서로의 열을 희석 시켜주는 지구의 온도조절 기능을 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밀도 높은 소금물이 거대한 냉각 파이프 같은 역할을 해 주고 있었던 겁니다. 


그래서 노르웨이는 북반구에 있음에도 바닷물이 어는 법 없이 항상 10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각종 어류들이 많이 몰립니다. 사람들은 그 나라 사람들이 유럽의 황금 어장을 다 가지고 있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일반적인 조류는 빠르게 이동하는 형태에 비하여, 심해 바닥의 대순환 해류는 1초에 1cm 정도로 매우 느리게 움직인다고 합니다.


일본의 학자들이 심해 해류를 떠서 공기 중의 물질과 섞인 것이 언제인가를 연구해보니 대양 대순환 해류가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무려 2000년이랍니다.


예수께서 태어나던 시기에 형성된 소금 기둥의 침강류가 지금에 와서 그린란드 쪽으로 도착 한 것이었죠.


1만 3천 년 전에 지구에 대 홍수가 일어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당시 캐나다를 덮고 있던 거대한 눈 덩어리가 있었는데 표면을 덮고 있던 눈이 기후의 변화에 따라 녹기 시작한 것이죠.


그 눈은 가운데부터 녹아서 점점 주변의 얼음덩어리가 그릇 역할을 하는, 엄청난 호수처럼 되어 버렸는데 그 물이 2조 톤이나 되었을 거라고 추정합니다.


점점 날씨가 더워 지자 그것이 일순간에 터지고 말았는데 그 물이 흘러서 캐나다와 미국 북부 인근엔 그랜드캐니언보다 더 큰 협곡이 생겼을 정도라고 합니다. 이것을 '미스 줄라 대홍수'라고 합니다.


이 홍수는 엄청난 양의 담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서 소금물의 농도를 희석시켜 놓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에 북쪽의 소금물의 밀도가 희석되는 바람에 겨울 돼서도 소금물이 바닥으로 가라앉을 수 없게 해 버렸다고 합니다.


그 사건, 그러니까 북쪽 소금물의 농도가 희석됨으로 인해 '대양 대순환 해류'는 멈춰 버리게 된 것이고  지구의 온도 조절 장치 또한 움직임이 멈추게 되어버리므로 결과적으로 영화 '투모로우'처럼 추운 곳은 더욱 추워지고 더운 곳은 더욱 더워지는 큰 사건을 낳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 천 년간은 지구가 거의 황폐화되었다가 지난 1만 년간은 기후의 급격한 변화가 없었기에 지금의 인류가 무탈하게 씨를 뿌리며 잘 살고 있는 것이라고 하는데, 제가 알게 된 특이한 내용은 과학자들이 그린란드의 눈을 석유 시추 봄으로 파내듯이 수천 미터를 파서 기후변화를 알아봤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지난 25만 년 동안 지구는 연간 10도나 되는 항상 급속한 기후변화를 겪어왔다는 것입니다.

그 말은 원래 지구는 항시 냉탕과 온탕을 오르락내리락 했었다는 것이죠.


그중 유독 우리 인간들이 살아온 지난 1만 년간만 단 1도의 편차도 없이  지구 평균기온 15도를 유지했다는 겁니다. 


그것은 인류가 석기와 청동기 등의 문명화를 거치는 기간 동안의 기온차는 드라마틱 하게 큰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죠. 


근래에 종종 서울의 기온이 35~40도가 넘는 날들이 많아지기 시작했고 최근 들어 북극의 얼음이 다 녹아간다는 뉴스를 접합니다. 그린란드의 일부분(서울 면적보다 크다는)이 떨어져 나가 녹아버렸다는 뉴스도 나옵니다. 북극의 항로가 열렸다는 뉴스는 반가운 소식이 아니죠. 


지구의 기온이 점점 오르고 이렇게 북쪽의 얼음이 급격히 녹아내린다면 또다시 물의 농도가 희석되므로 인해  '대양 대순환 해류'는 멈춰 서게 될 것 이란 것이죠.


226.jpg

그렇게 되면 지구는 또다시 생명이 살기 힘든 별이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몰려옵니다. 과연 지구에게 주어졌던 지난 1만 년간의 유예기간은 이제 서서히 끝나가고 있는 것일까요?


미국의 트럼프가 파리기후협약을 탈퇴하자 신이 나서 공장과 화력 댐들을 건설하던 중국과 인도 같은 개발도상국들에게 선진국들은 '우리가 해보니 안 좋더라'라고 말합니다.

개발도상국들에게는 선진국들의 이기적인 경고에 씨알도 먹히지 않을 것입니다.


전 인류가 당면한 시급한 숙제를 힘의 논리와 자국 이기주의로 우선해선 곧바로 큰일 난다는 것을 시급히 깨달아야만 할 때입니다. 


당장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물난리를 보고 있자니 또 한 번 기후 걱정이 앞섭니다.

 

글/사진=이호준 문화칼럼리스트

20200609151100_rwdvuxnd.jpg

태그

전체댓글 0

  • 6779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호준의 문화ZIP] 지구의 온도 조절장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08.03 17:0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