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노인 10명 중 3명이 삼시세끼 모두 나 홀로 식사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1.01.13 12:4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노인 10명 중 3명은 하루 세끼 모두를 홀로 식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루 세끼 모두 혼자 식사하는 노인이 영양 불량에 빠질 위험은 하루 세끼 모두 배우자 등과 함께 식사하는 노인의 3배였다.

 

3554235389_20200421183401_7208121330.jpg
사진=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공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정자용 교수팀이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노인 4,562명(남 2,265명, 여 2,297명)을 대상으로 동반 식사 횟수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우리나라 노인 남녀에서 동반 식사 횟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수준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비교: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는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남성 노인은 59.2%가 하루 세끼 모두를 동반 식사했다. 하루 1∼2끼 동반 식사율은 28.3%, 세 끼 모두를 혼자 식사하는 비율은 28.3%였다. 


여성 노인의 39.7%가 하루 3회 동반 식사했다. 하루 동반 식사 횟수 1∼2회는 31.3%, 0회는 29.1%였다. 노인의 약 30%가 하루에 한 끼도 동반 식사를 하지 않았다.

 

하루 세끼를 모두 혼자 식사하는 남성 노인은 하루 세끼 모두 동반 식사하는 노인에 비해 비타민Cㆍ철을 필요량 미만 섭취할 위험이 컸다. 여성 노인은 동반 식사 횟수가 감소할수록 칼로리를 필요량 미만 섭취할 위험이 증가했다. 

 

하루 세끼 모두를 혼자 식사하는 노인이 영양 불량 상태로 진단될 위험은 세 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노인의 3.1배였다,

 

정 교수팀은 논문에서 “노인에서 동반 식사 횟수의 증가는 영양 불량 위험을 낮췄다”며 “함께 식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노인의 적절한 영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노인에게 사회생활 참여와 다른 사람과의 교류는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관계자는 "일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혼자 식사하면 동반 식사를 하는 노인보다 우울증 위험과 사망률이 증가했다"면서 "가족과 함께 살더라도 주로 혼자 식사하면 쇠약(frailty)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고 전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노인 10명 중 3명이 삼시세끼 모두 나 홀로 식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