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펠레그리노(S.Pellegrino)와 아쿠아파나(Acqua Panna)가 공식 후원하는 ‘2021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Asia’s 50 Best Restaurants 2021)’ 순위가 발표됐다.
올해로 제9회를 맞이한 2021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은 전 세계 명망 있는 레스토랑 셰프들은 물론 기자 및 미식 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전 세계적 팬데믹이 아시아 지역 파인 다이닝 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 유수 레스토랑들이 저마다의 독창성과 기민한 상황 적응력, 회복력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윌리엄 드류(William Drew)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의 콘텐츠 이사(Director of Content for Asia’s 50 Best Restaurants)는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 시상식은 2013년부터 아시아 지역의 뛰어난 셰프들과 다양한 요리를 기리는 한편 인재를 육성해왔다”며 “전 세계적인 팬데믹 사태로 인해 아시아 미식 업계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금과 같은 시기, 유수 레스토랑을 조명하고 미식 업계 인재들이 널리 이름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이 시상식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할 것”이라며 그 의미를 강조했다.

이날 영예의 1위는 홍콩 레스토랑 최초로 대니 입(Danny Yip) 셰프가 강렬한 광둥요리를 선보이는 ‘더 체어맨(The Chairman)’에 돌아갔다.
2020년 1위로 선정됐던 싱가포르의 ‘오데트(Odette)’는 2위에 선정됐다. 오데트는 올해로 3년 연속 ‘싱가포르 베스트 레스토랑’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 3위는 2020년에 이어 올해에도 하세가와 자이유 셰프가 이끄는 ‘덴(Den)’이 차지했다.
한국 레스토랑 중에서는 강민구 셰프의 ‘밍글스(Mingles)’가 10위를 차지하며 6년 연속 ‘한국 베스트 레스토랑’으로 선정됐다.
이 밖에도 올해 처음으로 신규 진입한 ‘세븐스도어(7th Door/34위)’, ‘본앤브레드(Born & Bred/36위)’와 더불어 ‘한식공간(Hansikgonggan/43위)’이 각각 순위에 포함되며 한국 파인 다이닝 씬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51~100위권에는 65위 톡톡(TocToc)’, 67위 모수(Mosu)’, 72‘위 주옥(Joo Ok)’, 86위 ‘온지음(Onjium)’이 포함됐다.
한편 ‘이네딧 담 셰프 초이스(Inedit Damm Chef’s Choice Award)’를 포함해 수상자가 사전 공개된 특별상 부문도 이날 시상이 이뤄졌다.
먼저 ‘밍글스’의 강민구 셰프가 올해 아시아 베스트레스토랑 50에서 이네딧 담 셰프 초이스(Inedit Damm Chef’s Choice Award)를 수상했다.
이 상은 스페인 프리미엄 맥주 브랜드 이네딧 담(Inedit Damm)이 후원하고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에 이름을 올린 셰프들이 직접 투표해 수여 하는 상이다.
강민구 셰프는 2020년 7월 홍콩에 레스토랑 ‘한식구(Hansik Goo)’를 열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한 한식을 세계 무대에 올리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번 수상을 통해 강민구 셰프는 한식의 가능성을 아시아 파인 다이닝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인정받았다.
강민구 셰프가 이끄는 레스토랑 밍글스는 2016년 처음으로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에 15위로 이름을 올렸다.
그와 동시에 두각을 나타내는 성과를 보인 신인에게 수여 하는 ‘하이스트 뉴 엔트리(Highest New Entry)’ 수상과 더불어 6년 연속 국내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되는 위력을 발휘했다.
이외에도 한국 출신 김선옥 셰프가 운영하는 싱가포르의 ‘메타(Meta)’가 아시아 지역에서 주목해야 할 레스토랑에 수여 하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원 투 워치(American Express One To Watch Award 2021)’를 수상했다. 한식에서 받은 영감과 세계 무대에서의 경험을 결합한 메타는 아시아에서 가장 전도 유망한 레스토랑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같은 날 레스토랑 컬렉션 ‘에센스 오브 아시아(Essence of Asia)’ 또한 최초 공개됐다.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 리스트를 보완하려는 취지에서 고안된 것으로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 속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각 지역사회와 미식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레스토랑들을 선별했다.
이 컬렉션에는 전통을 보존하고 현지 고유의 맛을 살리며 지역사회에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돼 아시아의 미식 업계에 필수적인 장소로 자리매김한 로컬 레스토랑들이 포함됐다.
한국 레스토랑 중에서는 ‘베이스 이즈 나이스(서울)’, ‘금돼지 식당(서울)’, ‘미로식당(서울)’, ‘낭푼밥상(제주)’이 포함됐다.
산펠레그리노 수출 총괄이사(Sanpellegrino International Business Unit Director) 스테파노 볼로네즈(Stefano Bolognese)는 “9년간 산펠레그리노와 아쿠아파나는 세계 각지의 고유 미식 문화를 육성하고 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해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과 협업했다”며 “특히 비대면 시상식에서 최초 공개된 레스토랑 컬렉션인 에센스 오브 아시아를 통해 각 지역의 고유한 미식 문화를 발굴하고 홍보하며 미식 업계가 나아갈 방향성을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