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내년 초부터 아이폰의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등에 대한 셀프 서비스 수리를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식 서비스센터에 가지 않고 셀프 수리를 원하는 이용자들에게 정품 부품과 수리 도구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셀프 서비스 제도는 애플 순정 부품을 ‘애플 셀프 서비스 수리 온라인 스토어’에서 별도 구매해 애플이 제공하는 설명서에 따라 스스로 수리하는 것을 말한다. 고객이 직접 수리할 수 있도록 전용 공구도 지원해준다. 애플은 우선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등 기본 성능의 모듈부터 셀프 수리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후 추가 셀프 수리가 가능한 부분으로 점차 확대할 전망이다. 셀프로 수리하더라도 비용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셀프 수리를 할 수 있는 모델은 최신 아이폰 13, 아이폰 12이다. 신형을 먼저 도입한 후 맥북이나 PC에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분위기다. 다만, 셀프 수리는 전자기기 수리를 위한 지식, 경험을 가진 기술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특정했다. 기술이나 경험이 없다면 이전과 같이 공인 서비스 업체를 방문해야 한다.
애플은 지금까지 애플스토어와 공인 서비스 업체에서만 아이폰 수리를 할 수 있었다. 사설 업체나 개인이 수리할 경우 AS를 거절하는 폐쇄적인 정책을 고수해왔다. 지금까지 셀프 수리를 하거나 사설 업체에 맡기면 보증 기간이 남아있더라도 서비스 보장을 받지 못했다. 또한, 간단한 부품 교체를 하는 정도의 고장에도 폰 전체를 교환하는 리퍼를 통해 AS를 진행해왔다.
이용자들의 편의보다는 보수적인 서비스 정책을 밀어 부쳤던 애플의 태도가 바뀐 것은 미국 행정부의 권고때문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올해 7월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애플 등 전자제품 제조업체들에게 독립적인 수리점이나 셀프 수리가 가능한 이용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규정을 개선하라고 권고하면서 애플의 태도가 바뀌었다.
미국의 공정거래위원회 격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수리 제한 관행을 제재하기로 했다. 즉 가전 업체들이 소비자의 ‘수리할 권리(Right-to Repair)’를 보장해야 된다는 것이다. FTC가 수리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제재에 나서자 애플 측도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
CNN은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수리 권한을 독점하면서 기기를 직접 고치기보다는 새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식으로 판매량을 늘려 돈을 벌어왔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애플의 이번 조치는 사용자들이 아이폰 등 애플 기기를 더 오래 사용하도록 만들고 제품 폐기물을 줄이는 장점도 있다"고 평가했다.
BEST 뉴스
-
알테오젠,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 1위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0일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에서 알테오젠이 1위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트렌드, 미디어, 소셜, 긍정·부정 평가, 활성화, 커뮤니티, AI 인덱...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이미지=연합뉴스TV 제공 보험사들이 ‘더 좋은 조건’을 내세워 기존 계약 해지를 유도하는 이른바 ‘보험 갈아타기’ 영업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상품을 바꾸게 하는 ‘부당승환’ 행위가 업계 전반으로 번지면서, 보험시장의 건전성과 공정 경... -
[단독] “끈끈이로 변한 골프공”… 볼빅 비비드 컬러볼, 품질 논란 확산
컬러 골프공 시장의 선두주자로 알려진 볼빅(Volvik)의 비비드(Vivid) 시리즈를 둘러싸고 품질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공 표면이 끈적거린다는 불만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볼빅 골프공. 끈적임 현상이 생기는 제품은 맨 하단 우측(무광 컬러볼) 사진=류근원 기...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한국도로공사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의 위생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관리 실태는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불법 납품이나 식품안전 인증(HACCP) 미비 업체의 식자재 사용에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휴게소의 위생불량상태인 호두과자 기계 (기름찌꺼기, 기름때가 제조기계 ...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KBS가 올해 실제로는 1,8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하고도 제작비를 대폭 줄여 ‘1,000억 원 적자’ 수준으로 맞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연합뉴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남동을)은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장범 사장의 진짜 성...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의원(국민의힘·서울 도봉갑)은 20일 “정무위 소관 5개 금융 공공기관이 징계가 확정된 직원에게도 성과급을 지급해왔다”며 “국민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김재섭 의원 사진=김재섭 의원실 제공 김재섭 의원이 중소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