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멈춰버린 코로나19 백신접종...남는 백신 어떡하나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2.05.06 17:1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감소세에 접어들면서 백신 접종률도 멈춰섰다. 


Screenshot 2022-05-06 at 16.56.31.jpg
코로나19 백신. 사진=픽사베이

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률은 지난달 13일부터 24일 동안 86.8%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5일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3천539명에 머물렀다. 이 중 기본접종(1·2차)에 참여한 사람은 100명도 되지 않는다. 전날 1차접종자는 47명, 2차접종자는 46명에 불과하다. 410명은 3차접종을, 나머지 3천36명은 4차접종자였다. 

 

Screenshot 2022-05-06 at 17.22.15.jpg
5월 5일 기준 국가별 백신접종률. 자료=Our World in Data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국내 2차접종률 86.8%는 아랍에미레이트(96.72%), 포르투갈(92.6%), 싱가포르(91.3%)보다는 낮지만, 미국(66.2%), 프랑스(77.9%), 독일(76.8%), 영국(72.9%), 일본(80.6%), 이스라엘(66.0%), 뉴질랜드(79.8%) 등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미 높은 백신접종률에다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인구 3명 중 1명 이상 코로나19 감염력을 가지게 된 것도 더이상 백신을 맞을 동기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 


60대 이상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4차접종과 만 5∼11세 소아접종이 진행되고 있지만, 참여율은 저조하다. 이날 기준 4차접종은 대상자의 21.0%가 마쳤고, 소아접종은 1차접종률이 1.6%에 불과하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은 이미 계약했던 물량이 계속해서 도입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억9천600만회분, 올해 9천만회분의 백신을 확보했으며, 앞으로도 약 1억4190만회분의 백신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결국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백신은 재고가 쌓여가고 있다. 국내 도입된 백신 중 1천544만4천회분이 남아 있다. 백신은 보관 조건이 까다롭고 유통기한이 지나면 폐기해야 한다. 


Screenshot 2022-05-06 at 16.54.28.jpg
사진=픽사베이

백신 접종률이 저조한 결과 폐기되는 백신도 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3월 22일까지 총 64만1천368회분의 백신이 페기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부터 보건복지부와 외교부, 질병관리청 등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폐기될 수 밖에 없는 백신을 선제적으로 해외 다른 국가에 공여하거나 제약사 공급 일정을 조율하는 등 폐기량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동교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백신관리반장은 6일 브리핑을 통해 백신 해외 공여와 관련해 "외교부를 중심으로 한 외교 채널을 통해 다양하게 해외 국가들의 백신 수요를 파악하고 있으며, 의향이 있는 국가들과 구체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제약사와 백신 도입 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새로운 변이 등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만약 하반기에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고, 이 변이가 접종을 우회한다면 백신 회사들에서도 백신을 개량할 것"이라며 "그럴 가능성에 대비해 전 국민 접종 물량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변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현재 국내 도입될 백신 물량은 필요 이상으로 많을 것이라면서 "가변적인 상황을 고려해 백신 회사들과 일정 조정, 공여 가능한 국가들과의 협상을 동시다발적으로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악의 경우 이미 계약된 백신 물량의 대부분이 폐기처분될 수도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202명 소재불명… 120명은 1년 넘게 미검거
  • ‘유령 인력’ 된 외국인 요양보호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멈춰버린 코로나19 백신접종...남는 백신 어떡하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