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의 ‘책으로 보는 시대’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인문학 누적 베스트셀러 1위는 ‘미움받을 용기’가 차지했다. 2위는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3위는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4위는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5위는 ‘총 균 쇠’였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인문학 분야에서 연도별 최다 판매 저자를 살펴보면, 1999년에는 ‘몰입의 즐거움’을 쓴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에서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를 쓴 이윤기,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인문학 누적 베스트셀러에서 4위를 차지한 마이클 샌델이 올랐다.
2016년 최다 판매 저자는 역시나 인문학 누적 베스트셀러에서 3위에 오른 채사장이었다. 2018년에는 유발 하라리, 2019년에는 ‘유럽 도시 기행1’을 쓴 유시민, 2021년에는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를 쓴 에릭 와이너, 2022년에는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의 이어령 교수가 올랐다.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주 인문학 구매층은 20·30대로, 전체 인문학 독자의 68.1%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는 20·30대 인문학 독자층이 51.6%에 반해, 30·40대 독자층은 59.4%로 기존 독자층이 변화하는 시기였다. 2020년 이후 2022년 현재까지 30·40대가 51.6%로 인문학 도서 구매에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알라딘의 사회과학 누적 판매 1위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출처: 알라딘
사회과학 분야 1999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베스트셀러 1위는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였다. 3위는 ‘공정하다는 착각’, 4위는 문유석 판사의 ‘개인주의자 선언’이 차지했다. 2위는 ‘조국의 시간’, 5위는 ‘안철수의 생각’, 6위는 ‘문재인의 운명’이 올랐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사회과학 분야에서 연도별 최다 판매 저자를 살펴보면 1999년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를 쓴 홍세화, 2002년부터 2006년까지는 ‘당신들의 대한민국 1’의 박노자, 2013년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의 장 지글러가 차지했다. 2014년에는 토마 피케티가 ‘21세기 자본’으로 최다 판매 저자에 각각 올랐다. 2015년에는 ‘송곳’의 최규석, 2016년에는 ‘나쁜 페미니스트’를 쓴 록산 게이가 올랐다. 2017년에는 ‘국가란 무엇인가’를 쓴 유시민 작가, 2018년은 ‘개인주의자 선언’의 문유석 판사, 2020년은 마이클 샌델이,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조국 전 장관이 ‘조국의 시간’으로 최다 판매 저자에 올랐다.
사회과학 독자도 인문학 독자층과 마찬가지로 1999년부터 2009년까지는 20·30대가 전체의 68.4%로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0년부터 2019년까지는 30·40대 저자가 59.9%로, 이전 20·30대 보다 높은 구매율을 보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사회과학 분야 주 구매층은 30·40대 52.4%로 높게 이어지고 있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과학 분야 누적 베스트셀러 1위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가 차지했다. 2위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3위는 정재승 교수의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였다. 4위에는 정재승의 ‘열두 발자국’이 올랐다. 5위는 2022년 과학 분야 책으로 오랜만에 알라딘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달성했던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차지했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과학 분야에서 연도별 최다 판매 저자를 살펴보면 1999년에는 ‘괴델, 에셔, 바흐’를 쓴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2001년에는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를 쓴 최재천 교수, 2002년은 과학 누적 베스트셀러에서 3위를 차지한 정재승이 올랐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최다 판매 저자는 리처드 도킨스였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이기적 유전자’로 리처드 도킨스가 그 기세를 이어갔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과학 누적 베스트셀러 1위를 칼 세이건이 차지했으며, 2017년까지 칼 세이건과 리처드 도킨스가 각축을 벌였다. 2018년에는 그 각축을 깨고 ‘랩 걸’을 쓴 호프 자렌이 최다 판매 저자로 올랐다. 2022년 과학 분야에서 연도별 최다 판매는 큰 반향을 불러온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의 룰루 밀러가 차지했다.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주 과학 분야 구매층은 30·40대로 전체 인문학 독자의 69.4%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도 30·40대가 64.6%로 가장 높은 구매율을 보였으며 2020년부터 2022년까지도 57.1%로 30·40대 독자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역사 분야에서 1999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베스트셀러 1위는 설민석의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이 차지했다. 2위는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 3위는 유시민의 ‘역사의 역사’, 5위는 유시민의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가 올랐으며 6위는 박영규의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이 차지했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역사 분야에서 연도별 최다 판매 저자를 살펴보면 1999년에는 ‘로마인 이야기’를 쓴 시오노 나나미가, 2002년은 ‘완당평전’을 유홍준 소장이 최다 판매 저자로 올랐다. 2003년부터 3005년까지, 2007년은 1999년과 마찬가지로 ‘로마인 이야기’를 쓴 시오노 나나미가 올랐다. 2008년에는 역사 분야 누적 베스트셀러 6위에 오른 박영규가 역사 분야에서 최다 판매를 했다. 2013년에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특별세트’를 쓴 박시백이 차지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는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을 쓴 설민석이, 2018년에는 ‘역사의 역사’ 유시민, 2019년부터 2020년까지는 다시 ‘설민석의 삼국지’를 쓴 설민석이 올랐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거꾸로 읽는 세계사’로 다시 유시민이 역사 분야 최다 판매 저자 자리를 차지했다.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주 역사 분야 구매층은 20·30대로 전체 인문학 독자의 64.9%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9년에는 30·40대의 구매 비율이 63.1%가 되면서 역전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도 30·40대의 구매 비율이 53.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책으로 보는 시대’를 통해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인문·교양 구매자 통계를 분석한 결과, 기존 20·30대 독자에서 30·40대로 독자의 연령층이 높아졌다. 또한 여성 독자가 대개의 연령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