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지난해 국내 출산율이 역대 최저 수준인 0.81명을 기록하며 OECD 국가 중 꼴찌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출산율이 하락하면서 출생아 수도 26만명대로 감소했다. 한 해 출생아 수 역시 역대 가장 적었다. 


Screenshot 2022-08-25 at 07.53.29.JPG
국내 한 대형병원의 신생아실. 사진=연합뉴스

출산율이 감소하는 가운데 사망자는 늘어 인구 감소 추세는 여전하다. 올해 2분기 사망자 수는 9만406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만5353명 늘어 20% 넘게 증가했다.   


24일 통계청은 '2021년 출생 통계'를 공개하면서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1800명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연간 출생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꾸준히 감소 추세다. 1970년대 100만명대, 2001년 50만명대, 2002년 40만명대로, 2017년 30만명대, 2020년부터 20만명대로 줄어들었다. 


Screenshot 2022-08-25 at 07.48.41.JPG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자료=통계청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비 3.4% 감소했다. 같은 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2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지난해 평균보다 더 낮아졌다. 


합계출산율 역시 역대 최저치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에 못 미치는 나라는 한국 뿐이다.


연령별로 출산율을 살펴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은 27.5명으로 지난해보다 3.1명 감소했다.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도 작년보다 2.9명 줄어 76.1명으로 기록됐다. 반면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의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30대 후반 출산율은 1.2명, 40대 초반 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통계를 시작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4세로 올라갔다. 이 역시 통계가 시작된 후 가장 높았다. 


결혼 후 첫째를 출산하기까지 걸리는 기간도 늘어났다. 지난해 결혼 후 첫 출산까지의 기간은 평균 2.5년으로, 10년 전보다 0.7년 늘었다. 결혼 후 2년 안에 첫 출산하는 경우도 51.7% 정도에 머물렀다. 


Screenshot 2022-08-25 at 07.49.01.JPG
지역별 출산율. 자료=통계청

지역별로 살펴보면 출생아 수는 광주와 세종을 뺀 전국 모든 도시에서 줄어들고 있다. 세종특별시 출산율이 1.28명으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가장 높은 반면 서울 출산율은 0.63명으로 가장 낮았다. 


시군구 단위로는 전남 영광군 출산율이 1.87명으로 가장 높았고, 부산 중구가 0.83명으로 가장 낮았다. 출생아 수 자체로는 경기 화성시와 수원시가 가장 많았다.  


통계청은 "최근 결혼·출산 자체가 늦어지면서 고령 산모 출산율이 늘었지만,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 출산율이 줄면서 전체 출산율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

  • 0054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합계출산율' 0.81명으로 OECD 꼴찌...인구감소 가속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