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13.2℃
    구름많음10.4℃
    구름많음철원8.7℃
    구름많음동두천8.8℃
    맑음파주9.1℃
    구름많음대관령6.4℃
    구름많음춘천10.1℃
    맑음백령도6.6℃
    구름조금북강릉13.2℃
    구름조금강릉14.1℃
    맑음동해14.6℃
    맑음서울9.1℃
    맑음인천6.9℃
    흐림원주9.1℃
    구름조금울릉도10.8℃
    맑음수원9.4℃
    구름조금영월10.5℃
    구름많음충주9.5℃
    맑음서산10.2℃
    맑음울진14.1℃
    맑음청주10.1℃
    맑음대전10.7℃
    맑음추풍령9.6℃
    구름조금안동11.0℃
    맑음상주10.7℃
    맑음포항13.1℃
    맑음군산11.3℃
    맑음대구12.5℃
    맑음전주11.8℃
    맑음울산12.4℃
    맑음창원14.1℃
    맑음광주10.7℃
    맑음부산13.7℃
    맑음통영13.5℃
    맑음목포10.8℃
    맑음여수12.5℃
    맑음흑산도13.6℃
    맑음완도13.5℃
    맑음고창10.4℃
    맑음순천11.7℃
    맑음홍성(예)11.3℃
    맑음10.4℃
    맑음제주13.9℃
    맑음고산11.6℃
    맑음성산14.6℃
    맑음서귀포15.2℃
    맑음진주12.7℃
    맑음강화8.2℃
    구름많음양평10.1℃
    구름많음이천10.0℃
    구름많음인제7.9℃
    구름많음홍천10.0℃
    구름많음태백8.0℃
    구름많음정선군10.3℃
    구름조금제천8.8℃
    맑음보은9.3℃
    맑음천안9.9℃
    맑음보령11.5℃
    맑음부여10.6℃
    맑음금산11.2℃
    맑음10.8℃
    맑음부안12.2℃
    맑음임실9.8℃
    맑음정읍12.0℃
    맑음남원9.6℃
    맑음장수10.8℃
    맑음고창군11.3℃
    맑음영광군12.1℃
    맑음김해시13.1℃
    맑음순창군8.3℃
    맑음북창원13.1℃
    맑음양산시13.6℃
    맑음보성군13.3℃
    맑음강진군12.5℃
    맑음장흥12.4℃
    맑음해남11.9℃
    맑음고흥12.5℃
    맑음의령군15.3℃
    맑음함양군12.7℃
    맑음광양시14.0℃
    맑음진도군12.2℃
    구름조금봉화10.0℃
    맑음영주10.0℃
    맑음문경11.4℃
    구름조금청송군10.1℃
    맑음영덕12.4℃
    맑음의성11.8℃
    맑음구미13.4℃
    맑음영천12.5℃
    맑음경주시13.0℃
    맑음거창11.7℃
    맑음합천13.9℃
    맑음밀양14.1℃
    맑음산청13.0℃
    맑음거제13.5℃
    맑음남해13.7℃
    맑음13.4℃
  • 최종편집 2025-04-05(토)
 

최근 출산장려 정책에 따라 남성 육아휴직이 크게 증가했지만 이를 악용해 육아휴직 급여를 부정 수급한 규모도 늘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3일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4년간 적발된 육아휴직 급여 부정수급은 총 1324건에 달하며 금액은 65억4천만원으로 집계됐다. 


육아휴직 급여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자녀 양육을 위해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른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고용보험기금에서 지급되는 급여를 말하며 통상 임금의 80% 수준에서 지급된다.


Screenshot 2022-10-03 at 16.26.02.JPG
자료=고용노동부/이주환 의원

전체 부정수급 건수와 금액을 근로자 성별로 구분하면 여성 848명(37억원), 남성 476명(28억4천만원)이다.


2018년 61건(3억2천만원)이던 남성의 부정수급은 2019년 138건(9억4천만원), 2020년 180건(8억4천만원), 2021년 97건(7억2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부정수급은 2018년 248건(8억9천만원), 2019년 279건(14억4천만원)으로 증가했다가 2020년 187건(8억1천만원), 2021년 134건(5억5천만원)으로 감소했다.


특이할 점은 2020년부터 남성의 육아휴직 급여 부정수급액이 여성보다 많아졌다는 점이다. 2021년 기준 남성의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가 여성보다 적었는데도 부정수급액은 더 많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 11만555명 중 남성은 26.3%(2만9041명)를 차지했다. 숫자와 비율 모두 역대 최다·최고지만, 남성의 육아휴직 비율은 여성에 비해 4분의1 수준이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가 남성보다 여성이 많은데도 부정수급액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주환 의원은 "육아휴직 급여는 국민 혈세가 투입되는 국가 예산인 만큼, 악순환을 끊을 수 있도록 부정수급 적발 시스템을 마련하는 한편 처벌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 2397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남성 육아휴직 늘면서 '부정수급' 규모도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10.03 16:2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