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의사가 진료 시 롱코비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임상 지침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사 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이자 세계 의료 제공자(HCP) 인사이트의 선두 주자인 Sermo는 의사 11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설문 조사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롱코비드 진단 방법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87%는 환자의 롱코비드 치료 방법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롱코비드, 의사와 환자 모두의 최우선 관심사로 지목
롱코비드는 많은 의사에게 시급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의사의 62%는 진료 시 환자의 롱코비드 증상이 늘어나고 있다고 답했고, 71%는 롱코비드를 우려하는 환자가 늘었다고 답했다.
의사들은 롱코비드가 환자에게 새로운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인지하고 있었다. 설문에 응한 의사의 절반 이상(57%)이 진료 환자가 코로나 감염 이후 다른 질환(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장질환(IBD), 심근염, 심방세동 등)을 새로 진단받았다고 답했다.
롱코비드는 환자의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설문에 응한 의사의 77%가 롱코비드에 시달리는 진료 환자에서 정신 건강 문제가 늘고 있다고 보고했다.
미국 의사들, 새로운 2가 코로나 부스터 백신 권장하나 환자는 관심 없어
이미 예방 접종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서 부스터 백신에 대한 무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에 응한 미국 의사의 87%는 환자에게 새로운 2가 부스터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으나 전체 의사의 절반 이상(54%)이 이미 예방 접종을 받은 환자가 백신 접종을 꺼린다고 보고했다.
백신 접종 환자들이 새로운 2가 코로나 부스터 접종을 꺼리는 이유로는 접종 여부와 관계 없이 감염될 것(58%), 과다 접종 및 전염병 피로(57%), 건강 악영향 우려(48%) 등이 있었다. 환자들은 새로운 부스터 접종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 접종을 받을 준비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대상 미국 의사의 약 4분의 1(24%)의 환자들이 지역 내 감염 사례가 늘어날 경우 부스터 접종을 받을 것이라고 답했다.
명확하지 않은 가이드라인도 기접종 환자들이 새로운 2가 코로나 부스터 접종을 받지 않겠다는 이유로 드는 주요 이유였다.
설문에 응한 의사의 33%는 최근 코로나에 걸렸던 환자의 경우 추가 접종 시기를 확신하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설문에 응한 의사의 17%는 환자가 자신이 맞은 백신 브랜드 2가 부스터 사용 가능성을 확신하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Sermo 의학자문위원회 위원인 클라우디아 마토렐(Claudia Martorell)(MD MPH FACP)은 “롱코비드는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도전이 되는 추가 팬데믹 위기”라며 “롱코비드의 복잡성과 치료 방법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 부족은 환자의 치료하려는 많은 의사에게 날로 큰 좌절감을 안긴다”고 지적했다.
백신 기접종 환자들이 부스터 접종을 거부하는 것 외에도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의사들은 진료 시 환자들 사이에 잘못된 정보가 이어지고 있다고 답했다.
설문에 응한 미국 의사의 약 절반(48%)이 환자들에게 새로운 2가 코로나 부스터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들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흔한 오정보로는 코로나에 걸렸던 경우 부스터 접종이 필요하지 않음(68%)이 꼽혔다. 서둘러 진행된 백신 개발과 부족한 임상 데이터(58%)가 그 뒤를 이었다.
BEST 뉴스
-
알테오젠,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 1위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0일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에서 알테오젠이 1위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트렌드, 미디어, 소셜, 긍정·부정 평가, 활성화, 커뮤니티, AI 인덱...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이미지=연합뉴스TV 제공 보험사들이 ‘더 좋은 조건’을 내세워 기존 계약 해지를 유도하는 이른바 ‘보험 갈아타기’ 영업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상품을 바꾸게 하는 ‘부당승환’ 행위가 업계 전반으로 번지면서, 보험시장의 건전성과 공정 경... -
[단독] “끈끈이로 변한 골프공”… 볼빅 비비드 컬러볼, 품질 논란 확산
컬러 골프공 시장의 선두주자로 알려진 볼빅(Volvik)의 비비드(Vivid) 시리즈를 둘러싸고 품질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공 표면이 끈적거린다는 불만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볼빅 골프공. 끈적임 현상이 생기는 제품은 맨 하단 우측(무광 컬러볼) 사진=류근원 기...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