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종합병원 응급실 이용자는 감소했지만, 응급실에 왔다가 1주일 안에 사망한 환자의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실린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응급의료이용 변화'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2년인 2018~2019년 연평균 응급실 방문 건수는 535만4684건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인 2020년 413만3723건으로 22.8%나 줄어들었다.
응급실 이용자 감소 폭은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반비례했다. 1차 유행 때인 2020년 3월에는 2018~2019년 동기간 1달 평균보다 33.1% 줄었고, 2차 유행과 3차 유행이 있었던 9월과 12월에는 각각 35.0%, 41.7% 감소했다. 코로나19 유행이 확산세일수록 응급실 이용자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응급실 이용자가 줄어든 베경으로는 중증보다는 경증 환자나 중증외상 환자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급성 심근경색(4.3% 감소), 심장정지(8.4% 증가), 출혈성 뇌졸중(4.6% 감소) 등 중증 질환보다는 급성인두편도염(50.4% 감소), 급성상기도염(63.0% 감소), 급성 중이염(79.8% 감소) 등 경증 질환 환자의 방문이 많이 감소했다. 또 중증외상(20.8% 감소) 환자도 크게 줄었다.
응급실 방문자가 크게 줄어든 급성인두편도염, 급성상기도염, 급성 중이염 등 경증 질환의 경우 코로나19 증상과 비슷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급실 방문 건수가 경증 질환자 중에서 큰 폭으로 줄었고 중증 질환자 사이에서는 소폭 감소에 그치거나 더 증가했다"며 "코로나19 이후 '좀 더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사람들'이 응급실을 제한적으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응급실 이용자는 감소했지만, 응급실을 방문한 후 1주일 안에 사망한 사람의 비율은 크게 늘었다. 응급실 방문자 10만명 중 1주일 내 사망자 비율은 2018~2019년 평균 1246명에서 2020년 1652건으로 32.6% 증가했다.
특히 응급실에 왔다 1주일 안에 사망한 만 14세 미만의 경우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8~2019년 평균 37명에서 73명으로 거의 100% 증가했다. 15세 이상의 사망률은 1547명에서 1882명으로 21.7% 늘어난 데 비해 14세 미만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응급실 방문자 사망률이 증가한 이유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의료 역량이 주로 코로나19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환자가 아닌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 대응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응급실 안에서 감염될 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확진자 발생시 의료기관 폐쇄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코로나19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고열환자는 병원 진료를 거부하거나, 병원의 일시 폐쇄로 수술 일정이 취소되는 사례가 늘었다. 고열 증상이 있는 산모의 경우 응급실을 찾지 못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최근까지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기 전에는 코로나19 검사를 해야했다. 의무적인 절차이지만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경우 아파도 응급실을 찾지 않는 사례도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같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대규모 신종감염병 발생시에는 병상, 인력, 의료기술까지 새로운 감염병에 집중된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비코로나19 응급 질환에 대한 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대응에 집중하면서 '비(非) 코로나' 환자에 대한 응급 의료 체제에 사각지대가 발생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BEST 뉴스
-
[단독] 소비자는 불안에 떠는데…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하자 무책임 대응 빈축
유아용품 브랜드 오르테와 소베맘이 판매하는 유아용 젖병세척기에서 내부 플라스틱 부품이 갈라지거나 깨지는 사례가 잇따라 나와 논란이다. 미세 플라스틱 이슈에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으나 두 회사는 문제의 원인을 명확히 고지하지 않고, 일부 제품에 대한 환불만 진행하는 등 안이하게 대응해 비판의 목소리가 ... -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여자 사우나에서 X싼 사람 나와'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주상복합단지 래미안 원베일리 내부 여성 사우나에서 인분이 나왔다. 아파트 측은 조사에 착수했으며,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베일리 커뮤니티 사우나에 거치된 공지문 사진=SNS 7일 래미안 원베일리 커뮤니티 측이 사우나에 공... -
[단독] 급성장한 미소 서비스, ‘좋은 플랫폼’ 평가 속 반복되는 불만 목소리
국내 대표 홈서비스 플랫폼 미소(Miso)가 생활편의를 크게 높인 혁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5년 설립 이후 누적 고객 500만 명, 거래 파트너 8만 명을 확보하며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고, 최근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빠른 성장 뒤에는 끊이지 않는 고객 불만과 서비스 품질 문제가 드러나고... -
급전 찾는 5060…저축은행·카드론·캐피탈 고령층 연체율 ‘비상’
서울의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과 카드론, 캐피탈 등 제2금융권에서 60세 이상 고령층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치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20개 저축은행, 8개 카드사, 10개 캐피탈사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5년 연령대별 ... -
직장인 3명 중 1명 “채용 사기 경험”
일러스트=픽사베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습 갑질 해결을 위한 채용절차법 확대 적용 동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장인 3명 중 1명가량(35.3%)이 입사 당시 확... -
“공항라운지 무료가 진리”… 트래블카드 ‘최애’는 신한카드
국내 최대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가 진행한 ‘가장 유용했던 트래블카드 혜택·기능’ 설문에서 ‘공항라운지 무료’가 1위를 차지했다. 해당 혜택을 갖춘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는 블라인드 조사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최애 트래블카드’로 꼽혔다. 인포그래픽=카드고릴라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