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엔데믹' 작년 사망자 수 감소…자살률 2년만에 상승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4.10.04 13:1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대 사망자, 유일하게 늘어…자살률, OECD 국가 중 1위

사망원인 1위 암…전립선암·자궁암·백혈병 사망률 증가


PYH2024082502450001300.jpg
[연합뉴스 자료사진]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에 지난해 사망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살률은 2년 만에 높아졌다. 자살률 상승에 10대 사망자 수가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4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 사망자 수 4년 만에 감소…코로나 사망자 수 76% 급감


작년 사망자 수는 35만2천511명으로 전년보다 5.5%(2만428명) 감소했다.


사망자 수가 줄어든 것은 2019년(-1.2%) 이후 4년 만이다.


사망자 수는 고령화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에는 코로나19 확산에 17.4% 급증한 37만3천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후 역대 최다를 기록한 바 있다.


작년에는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으면서 사망자 수가 줄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7천442명으로 전년보다 2만3천838명(-76.2%) 급감했다.


코로나19는 사망 원인 순위에서도 2022년 3위에서 지난해 10위로 하락했다.


◇ 자살률 2년만에 상승…OECD 국가 중 1위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자 수는 1만3천978명으로 전년보다 8.3%(1천72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인 자살률은 27.3명으로 8.5%(2.2명) 상승했다.


자살률이 올라간 것은 2021년(1.2%) 이후 2년 만이다.


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에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부분이 지속된 점과 정신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인 박탈감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13.6%), 50대(12.1%), 10대(10.4%) 등에서 높아졌다.


자살률 상승에 10대에서 전체 사망자 수는 803명으로 0.9% 늘어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와 20대, 30대에서 사망 원인 1순위는 자살이었다.


성별로는 남자(38.3명)가 여자(16.5명)보다 2.3배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우리나라가 24.8명으로 전 세계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은 10.7명이었다.


OECD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OECD 기준인구를 바탕으로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한 사망률로서 국가 간 비교에 활용된다.


◇ 사망 원인 1위 암…전립선암·자궁암·백혈병 사망자 증가


지난해 사망 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이었다. 암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후 줄곧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10만명당 암에 의한 사망자 수인 암 사망률은 166.7명으로 전년보다 2.5%(4.1명) 증가했다.


암 사망률은 폐암(36.5명), 간암(19.8명), 대장암(18.3명), 췌장암(15.0명), 위암(14.1명) 순으로 높았다.


전년 대비로는 전립선암(9.1%), 자궁암(8.4%), 백혈병(6.5%) 등의 사망률이 상승했다.


반면 유방암(-0.8%), 간암(-0.5%), 식도암(-0.2%) 등의 사망률은 하락했다.


암은 1∼9세와 40대 이상에서 사망 원인 1위였다.


40대에서는 유방암(4.8명), 50대에서는 간암(16.4명) 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에서는 폐암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코로나 엔데믹' 작년 사망자 수 감소…자살률 2년만에 상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