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창래 대표의 무책임한 경영이 불러온 삼부토건 위기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3.25 19:4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삼부토건이 100억 원대 주가조작 의혹에 휘말리면서 금융감독원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그동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조해 온 삼부토건이 오너 리스크로 인해 기업 신뢰도를 스스로 무너뜨렸다는 비판이 거세다.


PYH2025022611780001300.jpg
서울 중구 삼부토건 옛 건물 외벽에 붙은 삼부 로고 사진=연합뉴스

 

금감원,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본격 조사


금융감독원은 지난 10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제출한 보고서를 토대로 삼부토건의 주가조작 여부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대상에는 지난해 9월부터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관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200개 이상의 본인 및 차명 계좌가 포함됐다.


금감원은 삼부토건의 주가가 급등한 시기에 인위적인 거래 유도가 있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삼부토건의 대주주들이 주가 상승 시점에 맞춰 대량의 지분을 매도하고 거액의 시세차익을 실현한 정황이 포착됐다. 금융권에서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자금이 이 전 대표와 관련된 인물들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ESG 경영 강조한 삼부토건, 신뢰도 추락


정창래 삼부토건 대표는 그동안 ESG 경영을 내세우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한 경영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번 주가조작 의혹으로 인해 삼부토건의 ESG 경영 방침이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요소로, 책임 경영과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삼부토건은 기업 신뢰도는 물론 투자자들의 신뢰마저 잃게 됐다. 업계에서는 정 대표의 무책임한 경영이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평가하고 있다.


"삼부 내일 체크" 발언 이후 주가 급등


논란은 야권의 주장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야권은 이 전 대표가 SNS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직후 삼부토건의 주가가 급등했다고 지적했다.


해당 시점에서 삼부토건의 주가는 1000원대에서 5500원으로 급등했다. 특히 주가가 급등한 시점이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우크라이나 방문 시기와 겹치면서 의혹이 증폭됐다. 이 과정에서 삼부토건의 대주주들이 보유 지분을 대거 매도해 약 100억 원대의 시세차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은 해당 거래가 의도적인 주가조작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ESG 책임경영 강조하더니… 시세차익만 노렸나


ESG 경영은 단순히 이윤 추구가 아닌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경영을 통해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삼부토건은 ESG 경영을 내세우며 투자자 신뢰를 유도한 뒤, 주가조작을 통해 막대한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책임 경영을 강조한 삼부토건이 오히려 시장의 질서를 교란하고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안긴 행위는 기업 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오너의 일탈이 ESG 경영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야권, "철저한 수사로 주가조작 전모 밝혀야"


야권은 삼부토건의 주가조작 의혹이 대통령 부부의 우크라이나 방문 시기와 겹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적 외압 없이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금융감독원이 조사 결과를 신속히 공개할 것을 요구하며, 공정한 조사를 통해 주가조작 전모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이 국정감사에서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삼부토건의 미래, 오너 리스크 극복할 수 있을까


삼부토건은 이번 사건으로 기업의 신뢰도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오너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조사 결과에 따라 삼부토건의 주가 및 경영 방향이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ESG 경영을 강조해온 삼부토건이 이번 위기를 극복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정창래 대표의 무책임한 경영이 불러온 삼부토건 위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