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업·공공기관 사칭 ‘노쇼 사기’ 기승…올해만 2892건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7 20:3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전화·메신저로 음식점 등을 예약한 뒤, 취급하지 않는 고가 주류·음식을 선결제하게 하고 잠적하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검거율은 1%에도 못 미쳐 경찰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PCM20250829000001990.jpg
공무원 사칭 사기 주의 [연합뉴스 자료사진]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경찰청별 노쇼 사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 건수는 총 2892건, 피해액은 414억 원에 달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은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7건(피해액 79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검거 건수는 단 2건에 불과했다. 이어 △경북 284건(38억 원) △서울 281건(33억 원) △전북 215건(35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검거율은 초라하다. 전체 2892건 가운데 검거된 건수는 22건으로, 비율은 0.7%에 그쳤다. 특히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세종, 경기북부, 충남, 경북, 제주에서는 단 한 건도 검거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검거율이 낮은 이유로 전화·메신저 기반 범행 특성, 위조 명함·신분증 사용 등 신원 확인의 어려움을 꼽는다.


박정현 의원은 “노쇼 사기는 유명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소상공인이 매출을 기대하며 속아넘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적 약점을 노린 악질 범죄”라며 “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이 0.7%에 불과한 현실은 심각하다. 경찰이 보다 실질적인 성과를 내 서민을 울리는 범죄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기업·공공기관 사칭 ‘노쇼 사기’ 기승…올해만 2892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