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직장 내 전시행정 1위 ‘협상 없는 연봉 협상’

  • 최종근 기자 기자
  • 입력 2013.08.06 01:2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238345238_20110721131506_1339019942.jpg▲ 현대중공업 이재성 사장<사진 오른쪽>과 오종쇄 노조위원장<왼쪽>이 합의서를 전달하며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 현대중공업) 위사진은 본문내용과 관련이 없음.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보여주기식이나 과시용으로 시행되는 규정이나 행위를 뜻하는 ‘전시행정’이 직장 내에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취업포털 커리어(http://www.career.co.kr 대표 강석인)가 직장인 1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1.7%가 직장 내 ‘전시행정’이 만연하다는 응답을 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전시행정 1위는 14.4%의 응답률을 차지한 ‘협상 없는 연봉협상’이었다.

2위는 ‘잔여업무가 없는데도 해야 하는 야근’(10.7%)이 차지했으며, ‘제대로 써본 적 없는 휴가제도’(10.1%), ‘생색내기식 명절선물’(8.5%), ‘제도만 있는 육아휴직’(7.7%)이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뚜렷한 목적 없는 워크샵’(7.4%), ‘팀 내 결속력을 보이기 위한 보여주기식 회식’(6.9%), ‘과시용 사내행사’(6.6%), ‘개인감정이 포함된 인사고과’(6.2%), ‘허울뿐인 사원교육제도’(6.1%), ‘자기소개서-인적성-영어면접 등 업무와는 무관한 채용프로세스’(5.9%), ‘마라톤 회의’(4.5%), ‘조건과 절차가 까다로운 자기계발 지원금’(3.7%) 역시 직장 내 ‘전시행정’으로 꼽혔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위와 같은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을까? 30.7%의 직장인은 ‘업무 의욕이 저하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26.5%는 ‘회사에 대한 믿음이 작아진다’고 응답했으며, 22.3%는 ‘애사심이 떨어진다’, 17.2% ‘물리적인 시간과 자금을 낭비하게 되었다’고 대답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직장 내 전시행정 1위 ‘협상 없는 연봉 협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