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대학생 배 모 씨는 최근들어 친구와 함께 테니스장을 즐겨 찾는다. 배 씨는 “학교 수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다 보니 적은 시간을 들여 높은 운동량을 얻을 수 있는 운동을 찾다가 테니스를 알게 되었다”며 “주로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테니스 장을 이용하는데 그곳의 테니스 동호회분들이 젊은 친구가 들어왔다면서 환영해 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처럼 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지는 동안엔 골프가 가장 인기 있는 레저 스포츠로 각광을 받는가 싶더니 최근에는 젊은 층 사이에서 테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테니스 열풍은 글로벌 추세다. 미국 스포츠 마케팅 연구기관이 작성한 'Physical Activity Council 's Participation (PAC)' 보고서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인의 테니스 참여는 2020년에 22% 증가했으며 2164만 명이 테니스를 했다. 이 보고서는 테니스가 완벽한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며 인구가 증가하는 스포츠라는 연구결과를 함께 내놨다.
국내의 테니스 인구 증가는 테니스 관련 용품의 매출 증가에서 쉽게 엿볼 수 있다. SSG닷컴에 따르면 올해 1~3월 테니스용품 전체 매출은 지난해보다 두 배 수 이상 증가한 210%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티몬도 라켓(23%), 테니스복(18%) 등 관련 용품 매출이 40% 상승했다고 밝혔다.
테니스는 골프와 마찬가지로 영국의 귀족들이 즐기는 스포츠로 인식되고 있지만 골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라 젊은 층에겐 더없는 인기다. 젊은 층 입자에선 골프의 경우 비싼 드라이버와 골프채 세트를 구입하는 것부터 부담이지만 테니스의 경우 테니스 라켓만 구입하면 일상복과 유사한 테니스 복과 운동화만 갖추면 되기 때문에 가성비 높은 운동임에 틀림없다.
테니스가 주는 건강상 이점도 많다. 테니스로 소모되는 열량은 시간당 400 ~ 500㎉에 이른다. 이로 인해 기업인, 연예인 등 적잖은 이들이 테니스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수 소유는 평소 테니스를 치며 건강 관리를 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가수 알리도 테니스로 다이어트에 성공했다고 알려지면서 화제가 됐다.

국내에는 테니스 선수나 감독 통계 외에는 취미로 테니스를 즐기는 인구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가 없다. 다만 문화체육관광부의 ‘2020 체육백서’ 공공체육시설 현황에 테니스장이 2010년 549곳에서 2019년 818곳으로 늘었다는 점, 한국무역협회의 테니스공 수입액이 2006년 255만 달러(약 31억5460만 원)에서 2019년 405만 달러(약 50억 원)로 늘었다는 점 등을 유추해 테니스 관심 인구가 증가했다는 걸 추정할 수 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테니스의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로는 다양하다. 눈의 띄는 부분은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예쁜 테니스 운동 사진을 보고 테니스에 빠졌다는 사람들이 적잖다는 점이다. 골프 초보자를 골린이라고 하듯이 젊은 층의 인스타그램을 찾아보면 테니스 초보자를 ‘테린이’(테니스+어린이)라고 자처하면서 테니스 입문을 자랑하는 글과 사진이 눈에 띈다.

앱스토어에도 테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테니스랩’ ‘테니스랜드’ ‘테니스프렌즈’ 등은 모두 지난해와 올해 만들어진 앱이다. 테니스를 함께할 ‘테친’을 모집하거나 테친들과 테니스장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코치 수업을 매칭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이뤄져 있다.
이와 관련 최근 발행된 주간동아(1336호)는 'MZ세대가 ‘테린이’ 자처하는 이유'라는 기사에서 "최근 완화됐으나 장기간 이어진 거리두기 정책으로 실내 운동보다 실외 운동 선호도가 높아졌다.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스크린골프를 제외하면 통상 4인으로 조를 짜 필드에 나가는 골프보다 사람을 덜 모아도 되고, 이동 거리가 짧으며, 시간 대비 운동 효과가 크다는 테니스의 장점이 ‘가성비’ ‘가심비’를 중시하는 MZ세대의 취향을 저격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