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주요 데이터센터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리튬이온 배터리팩 384개가 모두 불에 탔다. 데이터 훼손 우려 때문에 대량의 물을 투입하지 못해 진화가 늦어졌고, 정부 업무시스템 600여 개가 가동을 멈추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인원 200여명과 차량 64대를 투입해 9시간50분 만인 27일 오전 6시30분께 큰 불길을 잡았다. 그러나 재발화가 이어지면서 이날 오전 내내 배연 및 냉각 작업이 진행됐다.
이번 화재로 전산실 좌측에 쌓여 있던 배터리 192개가 불타면서 불길이 우측으로 번졌고, 결국 384개 전량이 소실됐다. 서버도 장시간 고온에 노출돼 대부분 파손된 상태다. 소방당국은 배터리를 분리해 물에 담그는 방안을 시도했지만, 폭발 위험 탓에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특성상 가스 소화설비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물에 담가야만 진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터 손실 우려 때문에 대량 방수를 하지 못한 것이 피해 확산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된다. 당시 전산실 내부 온도는 160도까지 치솟았다.
김기선 긴급구조통제단장은 “국가자원 보호를 위해 다량의 물을 투입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신속한 진화에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화재로 행정안전부는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며 “기재부 등 주요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민원서비스 ‘정부24’도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관계자는 “현재 장비 조달을 통해 긴급 복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불이 완전히 꺼진 뒤에야 시스템 복구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작업 도중 발생했으며, 작업 중이던 협력업체 직원 1명이 얼굴과 팔에 화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데이터 복구와 서비스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