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배터리팩 384개 전소, 정부 서비스 마비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27 11:4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가 주요 데이터센터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리튬이온 배터리팩 384개가 모두 불에 탔다. 데이터 훼손 우려 때문에 대량의 물을 투입하지 못해 진화가 늦어졌고, 정부 업무시스템 600여 개가 가동을 멈추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PYH2025092701650006300.jpg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인원 200여명과 차량 64대를 투입해 9시간50분 만인 27일 오전 6시30분께 큰 불길을 잡았다. 그러나 재발화가 이어지면서 이날 오전 내내 배연 및 냉각 작업이 진행됐다.


이번 화재로 전산실 좌측에 쌓여 있던 배터리 192개가 불타면서 불길이 우측으로 번졌고, 결국 384개 전량이 소실됐다. 서버도 장시간 고온에 노출돼 대부분 파손된 상태다. 소방당국은 배터리를 분리해 물에 담그는 방안을 시도했지만, 폭발 위험 탓에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특성상 가스 소화설비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물에 담가야만 진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터 손실 우려 때문에 대량 방수를 하지 못한 것이 피해 확산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된다. 당시 전산실 내부 온도는 160도까지 치솟았다.


김기선 긴급구조통제단장은 “국가자원 보호를 위해 다량의 물을 투입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신속한 진화에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화재로 행정안전부는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며 “기재부 등 주요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민원서비스 ‘정부24’도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관계자는 “현재 장비 조달을 통해 긴급 복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불이 완전히 꺼진 뒤에야 시스템 복구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작업 도중 발생했으며, 작업 중이던 협력업체 직원 1명이 얼굴과 팔에 화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데이터 복구와 서비스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롤’ 격투 게임 슬슬 몸푼다
  • “정면·측면 충돌 어린이 보호 최고점…전용 전기차 안전성 재확인”
  • 케데헌·파친코·경성크리처…OTT 통해 전 세계에 日 만행 알려져
  • “팔수록 손해”…소상공인 울리는 플랫폼 수수료
  • ‘싼맛’에 총까지 직구…중국발 위해 제품 차단 1년 새 70%↑
  • 팁스기업 R&D 환수금, 1년새 7배 급증
  • “차세대 인재들에게 희망의 날개”… 티앤씨재단·ICG, 장학금 전달
  • 성범죄·살인까지…중범죄자 국가유공자 재등록 잇따라
  •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언론자율규제기구 최초 '대학생 서포터즈' 운영
  • 한미글로벌, 쿠웨이트·사우디 잇단 수주…중동서 470억 낭보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배터리팩 384개 전소, 정부 서비스 마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