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난하면 암 걸려도 빨리 죽는다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18 13:0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저소득층, 암 진단 1년 내 사망률 고소득층의 1.8배
  • 의료급여·지역가입자일수록 암 사망률 높고 조기검진 참여율 낮아

3667086242_20240402132512_2508519828.jpg
건강검진 장면 사진=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 제공

 

소득이 낮을수록 암에 걸릴 확률도 높고, 암 진단 후 생존 확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급여 등 저소득계층은 암 진단 후 1년 이내 사망률이 고소득 직장가입자의 약 1.8배에 달했다. ‘암은 조기 발견이 생명’이라는 말이 있지만, 경제적 격차가 생명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주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소득수준별 암 발생 및 사망 비교 분석’(2014~2023)에 따르면, 의료급여 수급자의 암 진단 후 1년 이내 표준화 사망률은 25.97%로, 직장가입자 중 고소득층(14.4%)보다 1.8배 높았다.


2023년 기준 암 발생률도 저소득층이 가장 높았다. 인구 10만 명당 의료급여층은 472.6명으로, 지역가입자(424.7명), 직장가입자(440.4명)를 모두 웃돌았다. 사망률 역시 의료급여층이 25.9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지역가입자(최하위 23.6%~최상위 12.8%), 직장가입자(최하위 17.3%~최상위 14.4%) 순이었다. 소득이 낮을수록 암에 걸리면 생존 확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셈이다.


조기 검진 격차도 뚜렷하다. 최근 10년간(2014~2023) 6대 암(위·대장·간·폐·유방·자궁경부암) 국가검진 수검률을 보면, 의료급여층이 모든 암종에서 가장 낮았다. 대장암 24.2%, 폐암 26.6%, 자궁경부암 35.8%로, 직장가입자(약 30~70%)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위암 검진률도 의료급여층 38.9%로, 직장가입자(60~65%)보다 한참 낮았다.


결국 가난할수록 검진을 제때 받지 못해 암을 늦게 발견하고, 치료 시기를 놓쳐 생명을 잃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암종별로는 간암과 폐암이 전체 사망률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암종에서 의료급여층의 사망률이 일관되게 높았다. 간암의 경우 의료급여층은 39.3%, 폐암은 39.7%로, 직장가입자(30.6~36.6%, 23.3~28.3%)보다 훨씬 높았다.


소 의원은 “의료급여 및 지역가입자 등 저소득계층은 암 조기검진 접근성이 낮고 진단 초기 사망률이 높다”며 “국가암검진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 저소득층의 조기 발견율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기관별로 분산된 암 통계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계층별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한 ‘암 통계 통합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의료급여층·저소득층 맞춤형 암 예방과 조기진단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 의원은 “돈이 없다고 생명을 잃는 일이 없도록, 암 관리정책의 중심을 ‘저소득층 생존율 향상’으로 옮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거북섬 아파트 공사장 사망… 하청 현장소장 입건, 원청 대우건설로 수사 확대?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금배추’ 대란 자초
  • 의사소통 장애인 도우미 교육 올해도 개시
  • K-푸드 인기 속 ‘즉석밥 대박’…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미국산 쌀
  • ‘해 짧아지니 카페인도 줄인다’…가을 저녁, 디카페인 커피 뜬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가난하면 암 걸려도 빨리 죽는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