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관련 도메인 '한일전'이 벌어졌다.

인터넷 주소창에 ‘독도.com’을 입력하면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다케시마 홍보 페이지(https://www.kr.emb-japan.go.jp)로 연결된다. 해당 페이지에는 '다케시마 영유권에 관한 일본국의 일관된 입장'이라는 글이 게재돼 있다.
해당 사실이 알려지자 국내 누리꾼들이 독도의 일본식 표기인 ‘죽도(竹島)’에 국가명 jp를 합친 ‘竹島.jp’ 도메인을 한국 외교부 웹사이트로 연결하면서 맞불을 놨다.
지난 17일 현재 ‘독도.com’으로 연결된 외무성의 다케시마 소개 페이지에는 일장기와 함께 일본 외무성이라고 적혀있으며,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안내하고 있다. 12개 언어로 소개된 ‘다케시마 영유권에 관한 일본국의 일관된 입장’을 보면, 일본 외무성은 “다케시마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도 또한 국제법상으로도 분명히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에 의한 다케시마 점거는 국제법상 아무런 근거가 없이 행해지는 불법 점거”라며 “한국이 이런 불법 점거에 따라 다케시마에 대해 실시하는 그 어떤 조치도 법적인 정당성을 갖지 않는다”고 전했다. 해당 페이지에는 외무성이 만든 다케시마 홍보물 등도 올라와 있다.
도메인 정보를 조회해보면, ‘독도.com’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소유주는 미국 국적으로 나와있다. 도메인을 처음 등록한 날은 지난 2004년 5월27일이다.
한국 누리꾼도 반격에 나섰다. 지난 15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竹島.jp’를 한국 외교부 홈페이지와 연결했다는 한 누리꾼의 글이 올라왔다. ‘竹島’는 일본이 독도를 표기하는 명칭이고 ‘jp’는 일본의 도메인 국가명 약자다.
도메인 정보 조회를 해보면, ‘이카루스 김’이라는 소유자가 지난 15일 해당 도메인을 등록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 ‘takeshima.jp’를 입력하면 한국 외교부가 독도를 홍보하는 유튜브로 연결된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