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카페는 물론 편의점에서도 친환경을 위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텀블러' 사용 캠페이인이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의 경우, 지난해 한 해 동안 개인컵을 이용한 건수는 2532만건으로 연도별 기준으로 역대 최대 사용 횟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업계도 텀블러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일회용 대신 텀블러 등 다회용품 이용이 늘고 있지만 위생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세척하지 않은 텀블러를 계속 사용할 경우 오히려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번거롭다는 이유로 물로만 헹군 후 사용하는 경우 자칫 텀블러 속에 남아있던 세균이 번식한다면 건강 상 문제가 될 수 있다.
텀블러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텀블러에 남은 음료는 되도록 빨리 버리고 씻어내야 한다. 많은 사람이 텀블러에 음료를 담아놓고 오랜 시간 천천히 마신다. 이 때 침이 닿은 텀블러를 20도 이상의 상온에 3시간 이상 방치하면 약 3만 마리의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 우유 등 단백질 성분이 함유된 음료는 2시간 이내에 마시지 않으면 세균이 더 많이 증식한다. 또 주스 등 당 함량이 높은 음료는 텀블러를 부식시키기도 한다.
집에 있는 친환경 재료를 활용해서 세척하는 방법도 있다. 물과 식초를 9:1로 섞어 텀블러에 30분 동안 담아둔 뒤 닦아내면 좋다. 산성의 식초는 단백질·지방 성분 등을 응고시켜 텀블러 속 물때나 찌든 때를 제거한다. 세척뿐 아니라 살균·방부·탈취 효과도 뛰어나다. 물과 식초를 9:1로 섞어 텀블러에 넣은 담고, 30분 정도 지난 후 깨끗이 헹구면 된다.
뜨거운 물에 베이킹소다 한 스푼을 넣은 뒤 텀블러에 한 시간 정도 담아두면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약알칼리성 물질인 베이킹소다는 지방 성분 등을 수용성으로 변화시켜 기름때 등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달걀껍데기를 물과 함께 담고 흔들어 씻어 준다. 달걀껍데기 속 탄산칼슘이 물때를 지워주는 효과가 있다.
텀블러를 세척할 때는 물에 오래 담가두지 말아야 한다. 텀블러에 물기가 남아있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말려줘야한다. 박테리아와 미생물 제거를 위해서는 뜨거운 물로 씻는 것이 좋다. 세척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텀블러를 오래 사용하면 내부에 반복적으로 습기가 차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으므로 6~8개월 주기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텀블러를 자주 교체하는 것도 친환경적이지는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세미 역시 회사 탕비실에서 사용하는 공용수세미는 오히려 세균을 옮기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되도록 개인용 수세미를 사용해야 한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KBS가 올해 실제로는 1,8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하고도 제작비를 대폭 줄여 ‘1,000억 원 적자’ 수준으로 맞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연합뉴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남동을)은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장범 사장의 진짜 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