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속초8.5℃
    흐림5.2℃
    흐림철원5.5℃
    맑음동두천6.1℃
    구름조금파주5.4℃
    흐림대관령2.5℃
    흐림춘천5.2℃
    안개백령도1.9℃
    구름조금북강릉5.1℃
    구름조금강릉8.0℃
    구름조금동해6.6℃
    구름많음서울7.1℃
    구름조금인천6.3℃
    흐림원주6.1℃
    맑음울릉도7.5℃
    박무수원6.3℃
    흐림영월6.5℃
    흐림충주6.6℃
    맑음서산3.7℃
    맑음울진7.0℃
    흐림청주6.3℃
    박무대전5.3℃
    맑음추풍령5.0℃
    흐림안동6.9℃
    구름많음상주7.0℃
    맑음포항8.5℃
    맑음군산6.1℃
    맑음대구7.3℃
    박무전주4.0℃
    맑음울산7.4℃
    맑음창원8.6℃
    박무광주4.9℃
    맑음부산8.2℃
    맑음통영7.0℃
    맑음목포5.3℃
    맑음여수6.9℃
    맑음흑산도6.9℃
    맑음완도6.6℃
    맑음고창-1.1℃
    맑음순천2.2℃
    박무홍성(예)3.9℃
    구름많음6.2℃
    맑음제주7.6℃
    맑음고산8.6℃
    맑음성산6.6℃
    맑음서귀포7.5℃
    맑음진주1.9℃
    구름조금강화4.1℃
    구름많음양평8.0℃
    구름많음이천6.7℃
    흐림인제6.1℃
    흐림홍천6.3℃
    흐림태백4.4℃
    흐림정선군6.1℃
    흐림제천6.0℃
    흐림보은6.3℃
    구름많음천안6.5℃
    맑음보령2.1℃
    맑음부여2.4℃
    맑음금산4.0℃
    맑음4.5℃
    맑음부안3.9℃
    맑음임실0.6℃
    맑음정읍2.5℃
    맑음남원0.6℃
    맑음장수0.6℃
    맑음고창군-0.5℃
    맑음영광군0.0℃
    맑음김해시7.8℃
    맑음순창군0.6℃
    맑음북창원8.0℃
    맑음양산시7.5℃
    맑음보성군5.4℃
    맑음강진군1.9℃
    맑음장흥0.4℃
    맑음해남-0.8℃
    맑음고흥3.2℃
    맑음의령군7.6℃
    맑음함양군2.9℃
    맑음광양시5.0℃
    맑음진도군1.3℃
    흐림봉화5.9℃
    흐림영주7.3℃
    흐림문경6.7℃
    흐림청송군6.6℃
    구름조금영덕8.6℃
    흐림의성7.9℃
    맑음구미6.6℃
    맑음영천7.4℃
    맑음경주시4.9℃
    맑음거창6.3℃
    맑음합천3.6℃
    맑음밀양4.2℃
    맑음산청4.8℃
    맑음거제6.3℃
    맑음남해9.0℃
    맑음8.2℃
  • 최종편집 2025-04-05(토)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데이터에 따르면 국내 수면장애 진료 인원은 2018년 약 85만5000명에서 2022년 약 109만8800명으로 4년 새 28% 늘어났다. 또 2019년 통계청 조사에서는 한국인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7시간 22분이고 한국인의 16.4%는 6시간 미만, 44.4%는 7시간 미만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sleeping-man-3404668_640.png
일러스트=픽사베이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는 현대인의 수면권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수면의 중요성 인지 △불면 세대별 수면장애 요인 점검 △현대인 수면 관리법 실천 등 3가지를 강조했다.


먼저 잠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수면 부족은 주의력과 학습능력을 떨어뜨려 업무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는 생산성 저하나 각종 안전 사고 문제로 이어진다. 김성균 보험연구원의 ‘수면 부족의 사회·경제적 손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면 부족으로 인한 OECD 주요 국가의 연간 경제적 손실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85~2.92%로 추정됐다. 수면 시간을 줄여 학업이나 일에 열중하는 것이 자칫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다.


불면 환자가 증가하는 세대별 수면장애 요인을 짚어보는 것도 필요하다. 국내 청소년들은 학업 위주의 생활이 지속되며 만성적 수면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 소비가 급증한 빠르게 진행되는 이미지의 콘텐츠가 뇌에 자극을 주며 청소년 수면의 질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수면 부족은 성장 발달과 학습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 권장 수면시간인 8~10시간을 준수해야 한다. 또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간에 충분히 자는 습관이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국내 불면증 환자 수가 가장 가파르게 늘고 있는 세대는 20대다. 젊은 층의 경우 과도한 카페인 섭취, 불규칙한 생활 패턴, 취업난과 직장생활 등에서 비롯된 스트레스가 수면을 방해하는 주요인이다. 수면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인 수면위생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불면을 완화할 수 있다. 먼저 잠 드는 시간과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취침 4~6시간 전에는 카페인, 니코틴, 술을 피한다. 명상, 독서 등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이완 요법 역시 불면증 해소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인의 일상에서 수면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를 관리해야 한다. 지나친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는 현대인에게 공통적인 문제다. 잠들기 2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중단하는 것을 권한다. 도심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야간에도 빛과 소음에 쉽게 노출되는데 이는 수면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때 안대, 귀마개나 두꺼운 암막 커튼 등을 활용해 차단한다.


조은자 수면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충분하고 질 좋은 수면은 누구나 평등하게 누려야 할 인간의 기본 권리이나 수면장애는 현대인의 대표적인 고질병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며 “수면은 개개인을 비롯해 사회 전체에 중요하기에 각자의 수면 관리 노력과 잠을 권하는 사회 분위기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0218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내 수면장애 환자 수 4년 새 28% 증가… 한국인 44% 7시간 미만 수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3.15 13:1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