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자신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를 결정했다. 이로써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율이 42.67%에 도달하며,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경영권 승계 완료, 세 아들 지분율 42.67%
31일 한화는 공시를 통해 김승연 회장이 김동관 부회장에게 4.86%, 김동원 사장과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3.23%씩 지분을 증여한다고 밝혔다. 지분 증여 이후 한화에너지가 22.16%, 김승연 회장이 11.33%, 김동관 부회장이 9.77%, 김동원 사장과 김동선 부사장이 각각 5.37%를 보유하게 된다.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세 아들이 보유하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를 통해 이들의 Ⓖ한화 지분율이 42.67%로 증가하며 경영권 승계 절차가 완료됐다. 김승연 회장은 이후에도 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경영 자문과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
책임경영 강화 및 승계 논란 해소
김승연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된 논란을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이번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 등 필수적인 사업활동이 승계 과정과 연결되지 않도록 선을 그었다. 이는 지배구조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며,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또한, 대규모 해외 투자와 관련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가 승계와 연결된다는 억측을 불식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 속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전략적 판단 하에 유상증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두 기업 간 글로벌 방산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적 조치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일부에서 제기됐던 ‘Ⓖ한화-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의혹도 이번 증여를 통해 해소될 전망이다.
증여세 2,218억 원, 투명한 납부 원칙 준수
이번 지분 증여에 따라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이 부담해야 할 증여세는 총 2,218억 원(3월 4일~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김승연 회장과 한화그룹은 법과 원칙을 준수해 증여세를 투명하고 성실하게 납부할 계획이다.
과거에도 한화그룹은 증여세를 성실히 납부해왔다. 2006~2007년 김승연 회장이 한화 지분 일부를 증여했을 당시, 세 아들은 1,216억 원의 증여세를 납부한 바 있다. 또한, 김승연 회장 역시 1981년 상속세로 277억 원을 납부한 기록이 있다.
과세 기준 가격은 4월 30일을 기준으로 전후 두 달간의 평균 주가로 결정된다. 이는 상장회사 내부자 주식 거래 사전 공시제도에 따른 것이며, 이를 통해 의도적으로 주가를 낮춘 후 증여했다는 의혹을 차단할 수 있다.
실제로 한화 주가는 2월 1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오션 지분 일부 인수를 발표한 후 급등해 3월 10일 5만2,300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 전까지 3년간 주가는 2~3만 원대에 머물렀으며, 5만 원을 넘어선 것은 2017년 8월 이후 8년 만이었다. 3월 31일 종가 기준 한화 주가는 40,950원이다.
한화그룹은 이번 지분 증여를 계기로 승계 논란을 마무리하고,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국가적 차원의 핵심 산업에 집중해 기업가치를 더욱 높이고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