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토부, 신안산선 사고 원인규명 미적미적”… 경실련, 사고조사위 즉각 구성 촉구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4.17 16:3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중 발생한 터널 붕괴 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미온적 대응을 두고 시민단체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경실련(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국토교통부가 사고조사위원회 구성을 지연하며 대형 민자사업자 감싸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PYH2025041624010001300.jpg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16일 구조대원들이 실종자 1명에 대한 수습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께, 신안산선 5-2공구 공사현장에서 발생했다. 터널 일부가 붕괴되며 도로에 싱크홀이 생겼고, 이로 인해 2,400여 명이 긴급 대피했다. 실종자 두 명 중 한 명은 구조됐지만, 다른 한 명은 끝내 숨진 채 발견됐다.


사고 다음날 국토부는 “건설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철저히 원인을 밝히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이후 위원회 구성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17일 성명을 통해 “수차례 국토부에 확인을 시도했지만 연락조차 닿지 않았다”며 “언론을 통해서도 조사위가 실제로 구성됐는지 알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사위 구성이 의도적으로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특히 국토부와 사업시행자인 포스코건설(POSCO E&C) 간의 유착 가능성을 언급하며, “대형 민간투자사업자를 봐주기 위한 조직적 방치가 아니냐”는 목소리를 높였다.


과거 사례도 도마 위에 올랐다. 2020년 부전~마산 복선전철 공사에서 터널 붕괴로 지반 침하가 발생했을 당시에도 국토부는 사고조사위를 구성하지 않았다. 당시 사업자는 SK에코플랜트였으며, 사고 이후 정부는 오히려 민자사업자로부터 5천억 원 규모의 소송에 직면했다.


경실련은 “중대한 사고에도 책임 규명을 미루는 국토부의 태도는 납득할 수 없다”며 “사고조사위를 지금 당장 구성하고, 명단 및 지연 사유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스타벅스 ‘원 모어 커피’… 이용객 50% 껑충
  • 신장식, ‘면접수당 지급법’ 발의… “구직자 부담 덜고, 노력 존중해야”
  • 경기도교육청, 고3 운전면허에 372억 ‘퍼주기’… “학원 배 불리기” 논란
  • 복어독 20배 ‘날개쥐치’…식약처 “절대 먹거나 맨손 접촉 금물”
  • 국회의원들이 올 상반기 가장 많이 빌린 책은 ‘정치·경제’ 분야
  • 알리서 1+1 예약했는데…숙소 가보니 1박만 예약돼있었다
  • 길거리 승객 태워도 수수료 부과하는 카카오택시 '불공정'
  • “존재하지도 않는 롤케이크?”… 이진숙 위원장 해명, 사실과 달랐다
  • 한학자 통일교 총재, 전직 검찰총장까지 포함된 ‘초호화 변호인단’
  • “집 안이 몰래 찍힐 수도”…로봇청소기서 ‘몰카 위험’ 보안 취약점 발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국토부, 신안산선 사고 원인규명 미적미적”… 경실련, 사고조사위 즉각 구성 촉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