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 93%, "회사 옮길 때 후회했다'

  • 최종근 기자 기자
  • 입력 2013.11.02 22:0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20130129085345_1157402593.jpg
 많은 직장인들이 회사를 옮길 때면 꼭 후회하는 부분이 생긴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후회하는 것은 본인의 전문성에 대한 부분으로, 평소 ‘공부 좀 할 걸’ 하는 후회가 든다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회사를 한 번 이상 옮겼던 경험이 있는 남녀 직장인 465명을 대상으로 ‘이직을 준비할 때 후회했던 점이 있는가?’ 조사한 결과 93.1%가 ‘있다’고 답했다.

후회하는 부분(*복수선택) 중에는 전문지식이나 자격증 취득 등의 ‘스펙이 부족한 점’을 꼽은 응답자가 41.3%로 가장 많았다. 경력직 직원을 채용할 때는 주로 전문성과 성과 중심으로 채용 평가가 이뤄지나, 스펙으로 지원자격을 두는 기업들도 상당수에 이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잦은 이직으로 인한 ‘짧은 경력기간’(30.8%)과 평소 정리해두지 않아 ‘성과 정리가 미흡한 점’(27.9%)이 후회됐다는 답변이 높았다. 이외에 회사 내외 동료들과의 친분관계가 부족함을 후회하는 ‘인맥 관리 부족’(21.0%)이 후회됐다는 직장인도 5명중 1명 정도로 조사됐다.

실제, 이직활동을 하며 가장 어려웠던 점(*복수선택)에 대한 조사에서도 어학점수 향상이나 자격증 취득 등의 ‘스펙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웠다’는 직장인이 44.3%로 가장 많았으나,

근소한 차이로 어떤 곳이 좋은 회사인지 채용기업을 찾아보는 것(42.5%)과 자기소개서나 경력기술서 등의 입사지원서 작성(41.3%)이 어려웠다는 답변도 높았다..

직장인들이 이직을 결심하는 요인 중에는 ‘근무여건/환경’과 ‘연봉’ 에 대한 불만족 영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을 결심한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복수선택) ‘근무여건/환경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답변이 응답률 40.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연봉 인상이 안됐다(34.2%) 거나 △회사가 안정적이지 않았다(27.3%) △상사/동료와 맞지 않는다(21.2%)는 등의 답변이 높았다.

한편, 회사를 퇴사하고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의 기간인 ‘이직 공백기’는 주로 1~3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 공백 기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 ‘3개월 정도’ 걸렸다는 직장인이 26.6%로 가장 많았고, 이어 △1개월 정도 20.6% △2개월 정도 17.6% △1주일 미만 12.5% 순으로 조사됐다.

이직 공백기 기간은 주로 자기계발 보다는 ‘휴식’으로 보내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이직공백기를 어떻게 보냈는가(*복수선택) 조사한 결과 ‘여행이나 외출을 삼가고 집에서 휴식을 취했다’는 답변이 응답률 40.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직무 전문성을 높였다(26.6%) 거나 국내 여행을 했다(24.7%) 특기를 만들었다(24.0%) 순으로 높았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따뜻한동행, 필리핀 6·25 참전용사 주거 지원
  • 게임으로 웃는 우리들만의 시간
  • ‘우리형닷컴 Qi2.2 3in1 스탠드 무선충전기’ 출시
  • ‘논산 백성현 상승 vs 서산 이완섭 하락’… 충청권 지자체장 순위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직장인 93%, "회사 옮길 때 후회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