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지금 지구상에 이런 느낌을 주는 장소가 많지 않을 것이다. 낮에 강 위에서 서서 동쪽은 보면 낡은 인민복과 건물들이 마치 1950년대 어느 도시를 연상시킨다.
반면에 서쪽을 보면 일년도 되지 않아서 스카이라인이 바뀌고, 도시 남북에 신도시들이 생겨난다. 아마 이런 분위기가 가장 생경한 이들이 동쪽에 사는 북한 신의주 사람들일 것이다.
그 도시가 바로 단둥이다. 단둥은 압록강과 신의주를 볼 수 있는 곳이어서 우리나라 여행객들에게는 독특한 감회를 주는 도시다. 1907년 청나라는 이곳을 무역항으로 개방했고, 압록강을 타고 온 물자나 지린성 등지에서 물자들이 모이는 중요한 항구 기능을 하고 있다.
단둥 자체의 여행에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시 중심에서 10분 정도만 걸으면 압록강에 닿을 만큼 가깝다. 유람선을 타고 강 중심으로 갈 수 있는데, 이곳에서 북한 신의주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우선 이곳에 가면 압록강 단교(鴨綠江 端橋)를 만날 일이다. 1911년 10월에 완공된 다리였는데, 1950년 11월부터 1951년 2월까지 진행된 미군의 공습으로 무너졌다. 1993년에 중국은 이 다리의 의미를 바꾸기 위해 단교(斷橋)에서 단교(端橋)로 이름을 바꾸었다. 단교는 끊어져 사람들의 움직임이 없지만 옆 철교는 가운데 기찻길을 두고 양 옆으로 도로가 있어 여전히 북중 물동량 이동의 중심이다.
사실 단둥 시내에는 그다지 인상적인 여행지가 없다. 시내에서 시간이 난다면 시내 중심에 있는 진지앙산(錦江山)의 정상에 있는 캉메이위앤차오지니엔관(抗美援朝紀念館)과 후산창청(虎山長城)정도다.
중국의 관점에서 한국전쟁을 해석한 만큼 객관적인 역사교육의 현장이지만 반공교육에 익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낯선 곳이다. 53m의 기념탑과 직경 44m의 원형 극장이 인상적이다. 후산창청은 과거 고구려의 말단 성이었는데, 마치 창청의 동쪽 끝인양 만들어 역사 조작의 냄새가 난다.
여행지로 정비되지 않았지만 역사 마니아라면 우리 사신이 중국으로 넘어올 때 건너던 지우롄청(九連城)도 한번 둘러볼 일이다. 그밖에 단둥에서 좀 거리가 있지만 펑황산(鳳凰山 봉황산)은 고구려의 중요 성 가운데 하나여서 둘러볼 만 하다. 좀 멀지만 남서향으로는 칭산거우(靑山溝 청산구)가 있는데, 북방의 ‘계림(桂林)’으로 불릴 만큼 아름다운 여행지다.
사실 단둥은 여전히 들떠있다. 남북간 기차가 연결되고 중국까지 이어지면 이곳은 동북아 물류의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큰 도시다. 물류는 물론이고 일본, 한국, 북한, 중국으로 이어지는 여행 등 문화교류의 교두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궁 같은 북한을 놓고 벌이는 동아시아 역학 관계의 실타래는 좀처럼 풀리지 않을 것 같다. 그렇다고 할지라도 단둥은 여전히 가장 빠른 개발도시 가운데 하나다. 중국으로서는 뭔가 확신이 없다면 이런 개발이 어려울텐데 그 자신감이 때로는 부담스럽다.
글=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BEST 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민생지원금, '단비인가 ·독배인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지원금’이 다시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경기 침체 속에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명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단기적 경기 부양과 함께 재정 건전성, 물가 안정, 정책 효율성 등 여러 구조적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검찰청 폐지' 공소청·중수청 신설…경실련 “권한 쪼개기 우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수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가 26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검찰청을 폐지하고, 기소 전담 공소청과 수사 전담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이른바 ‘수사·기소 분리’ 제도를 법제화했다. ...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신박사의 신박한 칼럼] 소상공인 재기의 불씨, ‘희망리턴재기지원사업’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경제는 여러 위기와 변화 속에서 많은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영업 제한과 소비심리 위축은 모든 소상공인들을 힘들게 만들었고, 경기하락에 따라 지역경제에도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