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2회연속 '빅스텝'...한은 사상 최초 5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2.10.12 10:4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2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2.50%인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해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미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이 빅스텝을 연이어 밟을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Screenshot 2022-10-12 at 10.42.47.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빅 스텝으로 기준금리는 3.00%에 진입했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이다. 무엇보다 한국은행 사상 처음으로 지난 4·5·7·8월에 이어 5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빅스텝의 배경에는 '물가상승'과 '환율', 한미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크게 작용했다. 경제·금융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소비자물가와 원/달러 환율, 1%포인트(p) 가까이 벌어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7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0%포인트(p) 올리는 빅 스텝을 밟았다고 분석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올린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때문이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108.93)는 지난해 동기대비 5.6% 올랐다. 상승률은 전달인 8월 5.7%에 이어 두 달 연속 낮아졌지만, 5%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상승 여력이 꺾이지 않았다고 봐야 한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 기준금리를 올려야 저축을 늘리고 소비가 준다. 소비가 줄어야 소비자 물가지수를 잡을 수 있다. 


한은이 경기침체라는 위험을 감수하고 기준금리 빅스텝을 단행한 또 하나의 이유로는 한미간 기준금리가 역전돼 격차가 발생하면서 추가 물가상승 및 환율 상승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2.50%, 미국의 기준금리는 3.00∼3.25% 수준으로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는 0.50~0.75%포인트다. 11월 초 연준이 다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서 네 번째 자이언트 스텝에 나서면 한미간 금리 격차는 1.00%포인트로 커진다. 


일단 금통위의 0.50%포인트 기준금리 이산으로 미국과의 격차는 0.00∼0.25%포인트로 좁혀졌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202명 소재불명… 120명은 1년 넘게 미검거
  • ‘유령 인력’ 된 외국인 요양보호사
  • 오리온, 저당 제품군 판매 확대… ‘닥터유’·‘오!그래놀라’ 수요 증가
  • AI 발생 중국 업체, 가공장만 바꿔 국내 수입 지속… 검역 관리 허점
  • 현대제철, 3분기 영업이익 932억…전년比 81%↑ ‘흑자 전환’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 무대 추락·장비 사고 반복되는데… 예술인 보호장치는 ‘0’ 수준
  • 의료관광은 늘었는데… 법은 15년 전 그대로
  • 교사 579명 음주운전… 만취 상태여도 대부분 교단 복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2회연속 '빅스텝'...한은 사상 최초 5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