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나 지하철 탈 때 교통카드 대신 아이폰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15 시리즈 공개하면서 최신 운영체제(OS)인 iOS 17와 아이패드OS 17, 맥OS 14을 정식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아이폰15 시리즈는 9월 12일(이하 현지시간) 또는 13일에 발표할 전망이며 유력한데 같은 달 18일께 새로운 운영체제를 배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6월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신규 기능은 대부분 공개됐지만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교통카드 기능 탑재 여부에 대해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의 관심은 커지고 있다.
세계개발자회의에서 공개된 개발자 문서에는 지갑 및 애플페이 결제 유형으로 전국교통카드 '티머니'가 추가됐다고 전해졌으며 지난달 중순부터 유형 하단에 "티머니 카드"라는 설명도 추가됐다.
업계에서는 아이폰에 티머니가 교통카드 기능으로 포함되는 수순으로 보고 있다.
아이폰의 애플페이는 비자, 마스터카드, 유로 페이 등이 모여 만든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표준 'EMV 컨택리스 방식'을 채택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이뤄진다.
티머니가 쓰고 있는 'NFC 타입 A', 'NFC 타입 B'와는 통신 프로토콜이 다르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결제 방식을 호환하는 데 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애플은 현재 네덜란드 NXP반도체가 개발한 NFC 타입 A인 보안요소칩 인증 기술 '마이페어'(MIFARE)를 지원하고 있다. 일본이 애플페이를 도입할 때는 소니 자회사 펠리카네트웍스가 개발한 '펠리카' 규격을 사용하기도 했다.
지난 3월 현대카드가 애플페이를 국내에 선보이면서 NFC 단말기 도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은 애플페이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결제처가 교통카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교통카드 도입 관련해 당사자인 애플과 티머니는 아직까지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다.
BEST 뉴스
-
[단독]삼성 빌트인 냉장고 '물수건만 닦아도 코팅 벗겨졌다'
신축 아파트 입주자들이 선택한 삼성 빌트인 냉장고(모델 BRS665040SR·BRS685050SR)에서 표면 코팅이 물수건만 사용해 닦아도 쉽게 벗겨진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삼성 빌트인 냉장고 표면 벗겨짐 현상 ...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의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완공했다. 청정수소를 본격 생산·공급하는 인프라를 갖추면서 에너지 전환 시대 대응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4일(수)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4번째), 권익현...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