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게임즈 서브컬처 장르 ‘프로젝트 C’ 판권 확보
- 판타지 세계관·언리얼5 고품질 그래픽·소통 기반 육성
- 2018년부터 경험·노하우 축적… 장르 다각화·글로벌 공략
- AAA급 MMORPG ‘프로젝트 Q’도 라이온하트와 공조
카카오게임즈가 유력 자회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에서 만들고 있는 모바일 수집형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프로젝트 C’(가칭)의 전 세계 배급권을 손에 넣었다.
‘프로젝트 C’는 카카오게임즈가 오랜 노하우와 경험을 갖고 있는 ‘서브컬처’(subculture, 하위문화) 장르다. 모바일과 PC 크로스 플랫폼 기반의 수집형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다섯 개의 대륙이 존재하는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네뷸라’ 아카데미에서 여러 개성을 지닌 소녀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언리얼 엔진5를 활용한 고퀄리티 그래픽에다, 육성 결과에 따라 능력치와 스킬, 외형까지 달라지는 입체적 캐릭터, 캐릭터마다 성격과 성향을 고려한 소통 기반의 ‘교감 육성’, 역할과 조합, 스킬 시너지를 감안한 깊이 있는 자동 턴제 전투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
서브컬처는 마치 일본 애니메이션을 연상시키는 영상과 꼼꼼한 스토리가 핵심이다. 일본이 이 장르의 원류로 불린다. 몇 년 전만 해도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변이 확고하지 않은 비주류로 불리면서 토종 일본산이거나 흉내를 내던 중국산 아류작들이 내수 시장을 넘봤다.
하지만 카카오게임즈와 넥슨이 해를 거듭하면서 흥행작을 일궈냈고, 마침내 국내에서도 서브컬처 장르에 대한 인식이 높아가고 있다. 넥슨게임즈의 ‘블루 아카이브’처럼 본고장인 일본으로 역진출해 성공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지난 2018년 모바일 리듬게임 ‘뱅드림! 걸즈밴드파티’와 2019년 모바일 RPG ‘프린세스 커넥트! 리:다이브’, 그로부터 3년 뒤 일본 시장을 석권한 모바일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우마무스메’ 등 서브컬처 3총사를 연이어 배급하면서 두터운 팬덤을 완성했다. 넥슨 역시 모바일 RPG ‘카운터사이드’와 ‘코노스바! 모바일 - 판타스틱 데이즈’로 현장 학습을 마친 후 드디어 ‘블루 아카이브’라는 대박을 터트렸다.
‘블루 아카이브’는 일본에서 엄청난 입지를 구축하면서 서브컬처 장르의 꿈이라고 일컫는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반경을 키워가고 있다. 한국산 서브컬처 게임으로는 사실상 처음으로 세계 최대 애니메이션 시장인 일본 무대에 섰다.
카카오게임즈는 이번 계약을 통해 ‘프로젝트 C’의 국내와 글로벌(중국 제외) 서비스 판권을 획득했다. 오랜 기간 다져온 서브컬처 게임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회사 측은 “양사가 각자 보유하고 있는 개발력과 서비스 역량을 십분 발휘해 ‘장르 다각화’와 ‘글로벌 공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겠다”고 했다.
‘프로젝트 C’의 제작 주체인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2021년 6월 29일 모바일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하 ‘오딘’)으로 혜성같이 나타났다. 출시 이후 17주 연속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했다. ‘오딘’은 국내 발매 당시 400만 명이 넘는 예비 이용자들이 사전 등록을 마치는 등 초반부터 관심을 끌었고, 시판 직후 단숨에 앱 마켓에서 1위 자리를 꿰찼다.
배급사였던 카카오게임즈는 ‘오딘’의 흥행에 힘입어 선발 기업 반열에 올랐다. ‘오딘’은 2022년 3월 대만에 진출했고, 이듬해 6월에는 일본 시장에도 들어갔다.
카카오게임즈는 2021년 11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지분 30.37%를 4500억 원에 추가로 인수했다. 이로써 기존 보유분(21.58%)을 합쳐 과반이 넘는 51.95%의 지분을 확보하면서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를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카카오게임즈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와 ‘프로젝트 C’를 포함해 총 세 번 맞손을 잡게 됐다. ‘오딘’으로 강렬한 상성(相性)을 확인했고, 2024년 11월에는 AAA급 신작 ‘프로젝트 Q’(가칭)도 공조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올 연말 출시를 목표로 잡은 ‘프로젝트 Q’는 모바일과 PC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 대형 MMORPG다. 북유럽 신화의 대서사시 ‘에다’를 재해석한 세계관을 배경으로, 언리얼 엔진5 기반의 최상급 그래픽과 쿼터뷰 방식의 풀 3D 심리스 오픈월드를 자랑한다.
또한 다양한 캐릭터와 높은 자유도에 기초해 대형 보스전이나 다채로운 공략이 필요한 인스턴스 던전, 성장, 파밍, 협동의 재미를 한데 모아 장르 본연의 몰입감을 극대화한다.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와의 긴밀한 유대와 양사의 우수 역량을 집약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에서 기존 수집형 육성 시뮬레이션 장르와는 색다른 재미와 경험을 선사하겠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
호반그룹, 성장인가 무리수인가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과 장남 김대헌 사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인천 송도의 호반써밋송도오피스텔에서 시작된 전기료 소송이 호반그룹의 책임 구조를 둘러싼 근본적 질문으로 번지고 있다. 입주민들은 “인근 단지보다 두 배 이상 전기료를 내고 있다”며 시공사인 호반건설을 상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