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매각도 ‘빨간불’…신뢰 위기 직면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09.02 20:5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로 금융당국 조사를 받는 가운데, 지지부진하던 매각 작업까지 난항을 겪고 있다. 업황 부진·대주주 리스크에 더해 보안 불안까지 겹치며 사실상 ‘삼중고(三重苦)’에 빠진 모양새다.

 

PYH2025071417400001300.jpg
서울 중구 롯데카드 본사 사진=연합뉴

롯데카드는 지난달 26일 서버 점검 과정에서 일부 시스템이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정밀 조사 결과, 3개 서버에서 악성코드 2종과 웹셸(WebShell) 5종이 발견돼 즉시 삭제 조치가 이뤄졌다. 이어 31일에는 온라인 결제 서버에서 외부 공격자가 자료 유출을 시도한 정황까지 드러났다.


현재까지 고객 개인정보가 실제 외부로 빠져나갔다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공격자가 확보한 데이터 용량이 1.7GB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원 수만 960만 명에 이르는 카드사인 만큼,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31017998_20250813084821_8964405055 (1).jpg
롯데카드는 지난 8월12일 금융보안원(FSI)로부터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를 인증받고 불과 이틀후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롯데카드 제공

 

사태가 불거지자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은 합동 현장검사에 나섰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실제 피해가 확인될 경우 전액 보상 방안을 마련하라”며 강도 높은 대응을 예고했다.


이번 해킹은 매각 작업에도 직격탄이 됐다. 최대주주 MBK파트너스는 2022년 매각에 실패한 뒤 올해 상반기 재추진에 나섰다. 매각가도 당초 3조원대에서 2조원대로 낮췄지만, 예비입찰에 단 한 곳의 원매자도 참여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흥행에 실패했다.


잠재 인수자로 거론됐던 금융지주와 플랫폼 기업들이 모두 발을 뺐고, 일부에서 하나금융지주가 검토된다는 말이 나왔지만 뚜렷한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롯데쇼핑 역시 보유 지분 20% 중 절반을 함께 내놓으며 2천억원 안팎의 현금 확보를 시도했지만, 수요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시장에선 롯데카드 매각 불발의 원인으로 ‘대주주 신뢰 리스크’를 꼽는다. MBK파트너스는 과거 홈플러스 인수 후 구조조정과 실적 부진으로 신뢰를 잃은 바 있고, 롯데카드 역시 고배당 정책으로 재무 건전성을 해쳤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여기에 카드업 전반의 수익성 악화가 겹쳤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빅테크의 간편결제 확산으로 성장 동력이 약화된 가운데, 롯데카드의 주요 지표인 ROA·ROE는 이미 크게 떨어져 있다.


이번 해킹 사고는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매각 협상을 가로막고 있다. 금융당국 조사 결과에 따라 제재나 보상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 매각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결국 롯데카드가 매각 성사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보안 신뢰 회복’과 ‘재무 체질 개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길거리 승객 태워도 수수료 부과하는 카카오택시 '불공정'
  • “존재하지도 않는 롤케이크?”… 이진숙 위원장 해명, 사실과 달랐다
  • 한학자 통일교 총재, 전직 검찰총장까지 포함된 ‘초호화 변호인단’
  • “집 안이 몰래 찍힐 수도”…로봇청소기서 ‘몰카 위험’ 보안 취약점 발견
  • “권성동 의원 큰절, 통일교 교주 아닌 부모·어르신께 해야”
  • 해외직구 식품서 마약류 성분 무더기 적발…소비자 주의 당부
  • 올해 銀 정기예·적금 중도해지 74조…침체된 서민경제 단면
  • 영주 산모 사망…혈액·마취·전원체계 ‘삼중 공백’ 드러나
  • 오비맥주 카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맥주·논알콜 부문 동시 수상
  • “1위 하면 식사권 쏜다”… 이디야커피, 권성준 셰프 협업 메뉴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매각도 ‘빨간불’…신뢰 위기 직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