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10.20 17: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도입 17년째를 맞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의 참여율이 여전히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로 추진해왔지만, 실질적인 참여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PYH2025093019260001300.jpg
사진=연합뉴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의원(국민의힘·세종을)이 기후에너지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분야 가입 가구는 올해 9월 기준 242만 643가구로, 전체 2,676만 7,193가구의 9%에 그쳤다. 지난해 대비 0.8%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역별로는 광주(41.9%)와 제주(25%)가 참여율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4%)와 세종(4.6%)이 가장 낮았다. 특히 자동차 분야의 참여율은 0.347%로, 등록 차량 1,832만 5,455대 중 6만 3,672대만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참여율은 저조하지만, 제도 운영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탄소중립포인트 운영·관리 예산은 2022년 28억 원, 2024년 30억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홍보 예산은 2021년 2,100만 원에서 지난해 5,800만 원으로 소폭 늘었고, 올해는 1억 7,000만 원을 집행했다. 그러나 전체 예산 대비 홍보비 비중은 여전히 2% 미만에 불과하다.


김위상 의원은 “온실가스 감축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에, 제도 도입 17년이 지나도록 참여율이 한 자릿수에 머무는 것은 문제”라며 “참여자에게 실질적 유인을 제공하고, 제도를 알릴 수 있는 홍보와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탄소중립포인트는 국민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설계된 제도인 만큼, 참여 저조의 원인을 분석해 근본적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경기도 119구급대, 예산 부족에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 이인선 의원,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 위한 ‘교제폭력 특례법’ 대표발의
  • 의약품 중독 환자 8만명 돌파…10대 청소년 40% 급증 ‘심각’
  • 청년몰, 전국 평균 공실률 38%…“사업 설계 자체가 문제”
  •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 ‘1,220억짜리 헬기’ 7년째 야간 산불 못 껐다
  • 태양광 정기검사 이행률 3년 새 하락… 전기화재 비율 87%로 급증
  • AI 음성·가짜 계정 동원한 ‘좀비채널’, 허위조작정보 조직적 유포
  • 한국관광공사, 허위 현장실사 보고서로 933억 수의계약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